미국 상호관세 부과 협상 시점 연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한국산 모든 제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발표된 관세율을 유지하되 부과 시점을 연기한 조치로, 사실상 무역 협상을 위한 시간을 추가로 부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7일(한국시간 기준) 주요외신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국과 미국 사이의 무역 관계는 상호주의와 거리가 멀다”며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 대해 별도로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같은 내용의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90일 유예 조치를 취하며 협상 시간을 마련했다. 한국에는 지금까지 기본관세 10%만 부과한 상태로 무역 협상을 진행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비관세 장벽과 정책이 지속적인 무역적자를 야기했다”며 “25%는 오히려 부족한 수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무역시장을 개방하고 장벽을 해소한다면 관세 조정도 고려할 수 있다”며 협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시설을 설립할 경우 관세 면제를 약속하며 “인허가는 수주 내에 처리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가 요청한 유예 연장과 관련해 그는 별도의 언급 없이,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관세 부과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보복 조치 가능성에 대해 “한국이 미국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도 그만큼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경고했다. 

이어 제3국 환적 방식에 대해서도 “25%보다 더 높은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