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일 맞아 증시는 휴장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 연합뉴스 제공.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 연합뉴스 제공.

미국의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양호하게 발표됐지만, 실상은 지방 정부의 일시적 고용 확대로 인한 착시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민간 고용은 둔화하고 있으며, 연방준비제도 역시 고용보다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주요 변수로 보고 관세에 따른 물가 상승에 대비하고 있다.

4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미국의 독립기념일을 맞아 휴장했다. 

전날 뉴욕 증시는 고용 지표 호조에 반응하며 상승 랠리를 기록했다.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6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14만7000명 증가하며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용의 절반 이상이 지방 정부에서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JP모건은 “민간 부문 고용 증가가 7만4000명에 그쳤고, 노동 참여율과 평균 노동시간 모두 감소했다”며, 노동시장이 실제로는 약화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 같은 현상은 고금리, 반이민 정책, 그리고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한 기업들의 채용 축소와 관련이 깊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역시 “관세는 노동의 수요와 공급을 동시에 위축시키는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연준은 여전히 물가 상승 억제를 우선시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에도 불구하고, 연내 인하 폭 축소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단기적으로 관세 정책이 고용보다 물가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여 연준의 인하 기조에도 변화가 감지된다”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금융 #경제 #미국 #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