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러 연준 이사, 7월 금리 인하 가능성 제시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0.08%(35.16포인트) 오른 4만2206.82에 마감하며 사흘 만에 소폭 반등에 성공했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22%(13.03포인트) 하락한 5967.84, 나스닥종합지수는 0.51%(98.86포인트) 떨어진 1만9447.41로 각각 마감했다.
이날 개장 전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CNBC 인터뷰에서 “이르면 7월에도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며 매파적 흐름에 반기를 들었다. 그는 “6개월간 금리를 동결한 것은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이었지만, 예상한 관세 충격은 보이지 않았다”며, 조기 인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하지만 장 초반의 기대감은 오래가지 못했다.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은행 총재가 “데이터상 금리 인하를 서두를 이유는 없다”며 선을 그으면서 연준 내부의 의견 분열이 드러났다. 바킨 총재는 올해 FOMC 투표권은 없지만, “근원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다”며 긴축 기조 유지를 강조했다.
이날 시장을 짓눌렀던 또 다른 변수는 반도체 업종의 부진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상무부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등 주요 기업들의 중국 공장에 대한 반도체 장비 수출 특례를 철회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 여파로 TSMC ADR은 1.87% 급락했고, 엔비디아(-1.12%), 브로드컴(-0.27%) 등도 동반 하락했다.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0.75% 떨어졌다.
정치 불확실성도 시장에 부담을 줬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2주 안에 이란에 대한 군사 개입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히면서 중동 정세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졌다. 유럽 주요국 외교장관들과 이란 간의 협상이 제네바에서 열렸지만, 미국은 참여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과의 대화는 진행 중”이라면서도 “유럽의 협상은 별 도움이 안 된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날은 파생상품 동시 만기일이기도 해 시장의 변동성이 평소보다 컸다. 커뮤니케이션서비스(-1.83%)와 소재(-0.66%)가 하락을 주도한 반면, 에너지 업종(+1.05%)은 상승세를 보였다.
경제 지표도 부진했다. 필라델피아 연은의 6월 제조업 활동 지수는 -4.0으로 집계되며, 석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예상치(-1.0)를 크게 밑돌며 제조업 둔화 우려를 키웠다.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월러 이사 발언 여파로 연내 기준금리 인하 기대치를 소폭 상향 조정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은 올해 누적 인하폭을 약 51bp로 반영했다. 7월 동결 가능성은 여전히 80%를 웃돌았다. 시장의 공포심을 반영하는 변동성지수(VIX)는 6.99% 하락한 20.62를 기록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관련기사
- [지난밤 뉴욕에선] 중동정세 격랑..3대 지수 하락
- [지난밤 뉴욕에선] 3대 지수 1%대 상승
-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 상장 첫날 대박
- [지난밤 뉴욕에선] 3대 지수, 트럼프의 ‘EU 관세 50%’ 경고에 하락
- '중동발 악재'가 발목 잡을라...이래저래 노심초사
- 한국은행, 중동발 금융시장 충격에 대비
- 뉴욕증시, 무역협상 낙관론·금리인하 기대에 강세
- [지난밤 뉴욕에선] 겉은 고용 호조, 속은 착시…연준, 물가에 더 무게
- [지난밤 뉴욕에선] S&P·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 7월 FOMC 앞둔 연준…통화정책 향배는?
- 증권업계 “FOMC, 9월 금리 인하 전망” 입모아
- 돌아온 美 잭슨홀 미팅, 파월 의장 시그널 ‘주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