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이 19일 경주 라한셀렉트 호텔에서 열렸다.

정부와 산·학·연 전문가 등 35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포럼은 한국수력원자력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원자력산업협회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행사다.

올해로 10회째를 맞이했다.

이번 포럼은 2025년 고리 1호기 해체 승인을 앞두고 국내 원전 해체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자리였다.

한수원은 국내 원전 해체 사업 추진 현황과 계획을 발표했으며, 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은 해체 관련 R&D 현황과 인력 양성 계획을, 한전KPS는 해체 장비 개발 현황과 계획을 각각 소개했다.

또한, 중수로 원전 해체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현황,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위한 기술 이전 및 수출 지원 사업 등에 대한 발표도 이어졌다.

해외 사례 공유도 진행됐다. 경희대학교 정재학 교수가 해외 원전 해체 산업 동향과 시사점을 제시했고, 독일과 일본의 원전 해체 기업들이 자신들의 글로벌 사업 경험을 공유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2025년은 고리 1호기 해체 승인과 함께 실질적인 해체가 본격화되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그동안 준비해온 기술과 제도를 바탕으로 고리 1호기를 성공적으로 해체하고, 이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과 경험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수원과 산업통상자원부가 19일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가한 '2025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