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WEC' 계약 관련 국정조사 시사, 기관장 거취 압박  
황주호 한수원 사장 8월 말 임기 만료…연임 적신호
한미 정상회담서 원전 협력 논의 가능성…원전시장 개척 노림수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19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19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체코 원전 수출 과정에서 체결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한국전력공사(한전)의 웨스팅하우스(WEC) 계약을 "매국적 합의"로 규정하고 황주호 한수원 사장과 김동철 한전 사장에 대한 거취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20일 경주에서 열린 민주당 현장최고위원회의에서 황명선 최고위원은 "윤석열 정부가 체결한 웨스팅하우스 협정은 원자력 주권을 침해한 졸속 합의로 반드시 파기·재협상돼야 하며, 책임자 문책도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는 국정조사 추진을 예고했다. 문 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MBC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국정조사를 반드시 해야 할 것 같다"며 "국익을 포기하는 일은 있어서는 안 되기에 반드시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도 진상 파악에 들어갔다. 강훈식 비서실장은 전날 회의에서 산업통상자원부에 해당 계약 관련 법적 근거와 절차 준수 여부를 보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해당 상임위에서도 같은 문제가 제기됐다. 송재봉 의원은 전날 열린 산자위 전체회의에서 "졸속 계약이 확인된다면 명확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며 거듭 책임론을 들고 나왔다.

회의에 참석한 황 사장은 이에 대해 "웨스팅하우스에 큰 몫이 가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웨스팅하우스는 공급망이 없다"며 "감내하고 이익을 남길 만하다고 생각한다"고 항변했다.

다른 분석을 내놓는 의원도 있다. 국민의힘 이철규 의원(산자위원장)은 오는 25일로 다가온 한미 정상회담을 거론하며 "국회가 대응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회담에서 원전 협력이 논의될 가능성을 염두에 둔 발언이다.

한수원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300기 이상의 대형 원전을 건설하는 중장기 계획을 세운 상태다. 미국 원전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미국 기업인 웨스팅하우스와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황 사장의 공식 임기는 지난 19일로 사실상 퇴임식만 앞두고 있다. 불과 한 달 전까지만 해도 황 사장은 체코 원전 수주 성과를 앞세워 연임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웨스팅하우스와의 계약 내용이 뒤늦게 공개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한수원은 아직 후임 사장 공모 절차에 들어가지 않은 상태다.

김동철 한전 사장 역시 2023년 9월 취임해 내년 9월까지 임기가 남아 있지만, 이번 논란이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 정치권 움직임에 따라 최종 유임 여부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