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체코 원전 협정 이어 미국 진출 타진
황주호 사장, 23일 WEC 합작회사 논의차 방미
민주당 산자위, "임기 만료된 사장, 권한 없어"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19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19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한국전력공사(한전)가 미국 웨스팅하우스(WEC)와 추가 협정을 추진하는 움직임에 강력히 제동을 걸었다.

민주당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22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한민국의 원자력 주권을 저버린 한전과 한수원은 또 다른 깜깜이 굴욕 협상을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의원들은 지난 1월 체코 원전 건설 관련 WEC와의 계약 내용과 추진 과정을 즉각 공개할 것과 추가 협상 중단, 황주호 사장의 사퇴와 직무 정지를 요구했다.

의원들은 해당 계약에 대해 "원전 1기당 1억7500만 달러의 기술 사용료를 바치고, 6억5000만 달러 규모의 물품과 용역을 강제로 구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계약 기간이 50년에 달한다는 점에 대해서도 "차세대 소형 모듈 원전(SMR) 수출까지 WEC 검증 없이는 불가능하게 하고, 연료 공급권까지 독점적으로 보장해 사실상 원자력 기술 주권을 내려놓은 매국적 협정"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미국 진출을 명분으로 WEC와 또 다른 협의를 추진한다는 언론 보도를 언급하며 "국회와 국민을 배제한 또 다른 밀실·굴욕 협상은 절대로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의원들은 또한 임기가 만료된 황주호 한수원 사장이 지난 19일 산자위 전체회의에서 "불공정한 협정이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한 데 대해 "권한 없는 자의 권한 남용이며, 직무 수행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했다.

의원들에 따르면 한수원과 한전은 국회의 협정 자료 공개 요구를 "기업 활동 비밀" 등의 이유로 거부했다. 의원들은 이에 대해서도 "국민과 국회를 철저히 기만한 '깜깜이 협상'"이라며 "민주적 통제를 무시한 국기문란 행위"라고 규정했다.

한편 정치권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황주호 사장은 오는 23일 WEC와의 '조인트벤처(합작회사)' 설립 논의를 위해 미국행 비행기를 탈 예정이다.

이에 대해 김정호 의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에서 "이사회 의결도 없이 서명하러 미국으로 간다는 건 말이 안 된다"며 "황 사장은 수사·조사 받을 대상"이라고 비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