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 주주활동 예고…대통령도 권장
HMM 부산 이전 노조 반대 속 매각 진행 속도
해수부와 산은, 매각에 입장차…연금도 목소리 낼까

HMM은 최근 부산 이전과 매각 이슈를 두고 정부와 기관, 노조 등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혔다. 사진은 컨테이너선. HMM
HMM은 최근 부산 이전과 매각 이슈를 두고 정부와 기관, 노조 등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혔다. 사진은 컨테이너선. HMM

국민연금은 최근 다수 상장사의 투자목적을 단순투자서 일반투자로 변경해 적극적인 주주활동을 예고했다. 그 속엔 최근 인수합병(M&A) 대상에 오른 HMM이 포함돼 정부의 입김이 강해질지 주목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최근 HMM을 비롯해 HD현대, 현대글로비스, 한국항공우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양식품, 유한양행 등의 투자목적을 일반투자로 변경했다. 기존 단순투자는 기본적인 주주권만 행사하는 소극적인 투자다. 반면, 일반투자는 경영권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더 적극적인 주주활동을 할 수 있다. 이사 선임 반대, 주주 제안, 공개 서한 발송, 소송 제기, 배당 확대 요구 등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 범주에 속한다.

국민연금은 기업의 주요 안건에 대해 반대 의결권을 행사하며 주주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하고 있다. 주요 반대 사유로는 임원 보수 한도, 이사 선임, 정관 변경 등이 있으며, 특히 과도한 임원 보수에 대한 반대가 늘어나는 추세다.

전날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시장에 대한 불신 요소를 최소화하겠다”며 연기금이 국내 주식을 더 많이 보유하도록 유도하겠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이는 연금이 국내 증시에서 적극적인 주권활동을 하도록 권장하겠다는 의미도 내포한다.

특히 투자목적 변경 대상 중에서도 HMM이 눈에 띈다. 대주주인 산업은행이 HMM 매각을 진행하고 포스코가 인수를 검토 중이다. 그런데 앞서 대통령 공약인 HMM 부산 이전에 대해 육상직 노조가 반대한 바 있다. 민영화 되면 부산 이전은 더욱 정부가 강제하기 어려워진다.

일각선 국민연금이 최대주주인 포스코가 인수하면 다른 인수자보단 부산 이전에 수월할 것이란 관측도 내놨다. 하지만 산업은행 산하에서도 어려운데, 소유분산기업인 포스코 산하에서 더 수월할 것이란 보장은 없다.

해운협회는 포스코의 HMM 인수에 대해 반대하고 나섰다. 포스코에 편입되면 해운 전문기업보다 보조기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이유다. 철강업이 어려워질 경우 해운재건 5개년 계획도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협회는 특히 “포스코의 해운업 진출은 모기업의 철광석 등 대량화물 운송을 시작으로 철강제품 수송까지 확대할 것”이라며 “이 경우 국내 기존 선사들은 시장에서 퇴출당하는 등 해운 생태계가 파괴된다”고 걱정했다.

또 해운법 24조 등을 근거로 대량 화주의 해운업 진출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스코플로우가 2022년 협회와 해운업 진출을 하지 않겠다는 상생업무협약을 체결한 사실을 들었다.

업계 관계자는 “HMM 노조가 포스코 인수 건에 대해 찬반 입장을 공식적으로 낸 바 없지만 협회를 통해 고용 안정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를 간접적으로 표출한 듯 보인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HMM 매각에 대해 국적 선사로서의 역할을 고려해 신중하게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내놨고, 박상진 산업은행 회장 내정자는 조속히 매각하겠다는 방침을 내비쳐, 양측의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 HMM 부산 이전과 매각 카드를 두고 정부와 기관, HMM 노조 등 여러 이해관계자간 묘한 줄다리기 양상이 흐르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이재영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국민연금 #H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