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피해 최소화 대신 축소·은폐 논란…전수조사 요구 확산

황정아 의원(사진)은 “8월 5일부터 이상 신호가 있었지만 KT의 축소와 은폐로 피해가 확대됐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전수조사를 통해 피해 상황을 명확히 공개하고 은폐 행위를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정아 의원실 제공
황정아 의원(사진)은 “8월 5일부터 이상 신호가 있었지만 KT의 축소와 은폐로 피해가 확대됐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전수조사를 통해 피해 상황을 명확히 공개하고 은폐 행위를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정아 의원실 제공

KT에서 발생한 소액결제 해킹 사태가 지난달 초부터 이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이 통보한 9월 1일 이후에도 무단 결제가 100건 넘게 발생하면서 KT가 피해 규모를 축소하거나 은폐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은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확인한 결과, 8월 5일부터 9월 3일까지 피해 고객 278명의 무단 결제 건수가 총 527건에 달했다고 17일 밝혔다.

KT는 최소 16일에 걸쳐 해킹 피해가 발생한 사실을 파악했다. 최초 피해 발생일은 8월 5일로, 언론 보도를 통해 사건이 알려지기 시작한 시점보다 한 달이나 앞섰다.

특히 8월 중순까지 한 자릿수에 머물던 결제 건수는 21일과 26일 각각 33건, 27일에는 106건으로 급증했다. 이후에도 결제 건수는 두 자릿수를 유지하며 증가세를 보였다. 이 때문에 해커들이 본격적인 공격 전 사전 예행연습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

KT는 9월 1일 수사기관으로부터 피해 분석을 요청받고도 적극 대응하지 않았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실제 2일과 3일에만 피해 건수가 109건 발생해, KT의 소극적 대응이 사태를 더 키웠다는 지적이다.

황정아 의원은 “8월 5일부터 이상 신호가 있었지만 KT의 축소와 은폐로 피해가 확대됐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전수조사를 통해 피해 상황을 명확히 공개하고 은폐 행위를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막대한 경제적 제재를 가해야만 재발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KT #황정아 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