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피해 규모 362명·2억4천만원, 불법 기지국 노출 2만여명
KT 전액 보상 및 추가 보상책 마련...롯데카드도 보상 약속
정부 "일벌백계, 제도 개선" 약속했지만 불안감 여전
KT의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불과 일주일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어난 데다 서버 침해 정황까지 드러나면서 정부 조사 신뢰성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19일 합동 브리핑에서 "민관합동조사단이 불법 기지국의 접속 경로와 개인정보 유출 과정을 중심으로 철저히 조사하고 있다"며 "정부는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범부처 합동으로 피해 최소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기업이 침해 사실을 지연 신고하거나 미신고할 경우 과태료 처분을 강화하고, 정부가 정황을 확보한 경우 기업 신고 여부와 무관하게 철저히 조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 불법 기지국 4개·노출 고객 2만여명…불안 가중
KT와 정부 발표에 따르면, 약 4개월간 서버 전수를 점검한 결과 서버 침해 흔적 4건과 의심 정황 2건이 확인돼 18일 오후 11시 57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추가 신고됐다.
피해 고객은 당초 278명에서 362명으로 늘었고 피해 금액도 1억7천만원에서 2억4천만원으로 증가했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아이디 역시 기존 2개에서 4개로 추가 확인됐다.
이에 따라 총 2만30명의 가입자가 해당 불법 기지국 신호를 수신했으며, 휴대전화 번호와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대거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KT는 무단 소액결제 피해에 대해 금전적 손실을 전액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피해 고객에게는 3년간 무료 ‘안심보험’을 제공하고 위약금 면제 등 추가 보상책도 내놓았다.
KT는 "정부 조사에 적극 협조해 침해 서버를 조속히 확정하고, 구체적 침해 내용과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고개를 숙였다.
◇ 금융계까지 피해 확산…사후 보상 아닌 사전 방지 필요
금융당국 역시 롯데카드 해킹 사태의 심각성을 뒤늦게 인지했다. 피해 규모도 당초 분석보다 크게 늘었다. 롯데카드에 따르면 전체 회원 960만명 가운데 약 3분의 1인 297만명의 정보가 유출됐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공개 사과했으며, 피해 고객에게 무이자 10개월 할부와 연회비 면제를 약속했다. 부정 사용이 확인될 경우 피해액 전액 보상 방침도 밝혔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롯데카드 조사 과정에서 당초 신고보다 큰 규모의 유출이 확인됐다"며 "위규 사항이 드러나면 일벌백계 차원에서 엄정 제재를 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국민 3명 중 1명은 "통신 3사 모두 보안 취약"
기업 발표만 믿고 안일하게 대응하다가 뒤늦게 허둥지둥 수습에 나선 정부 태도에 국민 불신은 깊어지고 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식의 뒤늦은 대책 발표로는 국민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재명 대통령도 18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기업의 책임을 묻는 것도 필요하지만, 갈수록 진화하는 해킹 범죄에 맞서 범정부 차원의 체계적 보안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9월 13~15일 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민 3명 중 1명은 통신 3사 모두 보안이 취약하다고 답했다.
"3사 모두 취약하다"는 답변은 33.2%였고, 이 중 SK텔레콤이 28.9%로 가장 많았고, 이어 KT(18.4%), LG유플러스(8.5%) 순이었다. 자세한 사항은 조원씨앤아이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해킹사고 늑장·미신고 66건...24시간 내 신고 의무 무색
- "KT 소액결제 피해, 3개월만 조사…피해 규모 더 클 수도"
- 이 대통령 해킹범죄 엄중대응 지시…"보안 없인 AI 강국도 사상누각"
- 롯데카드, 회원 정보 유출 피해 전액 보상
- KT 무단 소액결제 8월부터 발생…경찰 통보 후에도 100여건 이어져
- 최근 5년간 10대 건설사 사고 사망자 113명…올해만 16명 숨져
- 최근 4년간 가상자산 체납액 1461억원 강제 징수...체납자 1만4140명
- KT 소액결재 피해지역 더 있었다…서초·동작·일산까지
- 김현 "해킹 불안 커지는데 KISA 기강해이 심각"
- 건설현장 임금체불 4천780억 '사상 최대'…외국인 노동자 체불도 급증
- KT 소액결제 피해, 세대·가입기간 불문...26년 장기 고객도 당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