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 기지국 23만대 중 4만3천대만 점검 계획
최수진 "최소 1년치 전수조사 필요…기지국 점검 강화해야"
KT가 최근 소액결제 피해를 조사한 결과, 피해 고객이 당초 발표보다 늘고 개인정보 유출 규모도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조사 기간을 최근 3개월에만 한정해 소비자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은 19일 "KT가 소액결제 피해 고객 조사를 3개월간의 건에만 국한해 진행했다"며 "피해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려면 최소 1년치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KT는 지난 9월 11일 1차 브리핑에서 피해 고객을 278명(1억7000만원)으로 발표했으나, 18일 2차 브리핑에서는 피해 고객이 362명, 피해 금액은 2억4000만원으로 늘었다.
또 3개월간 소액결제 ARS 전수조사(2267만건)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가 2만명 추가 확인됐으며, 불법 초소형 기지국 2개도 적발됐다.
최 의원은 조사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KT는 6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약 3개월간의 건만 살폈고, 초소형 기지국 점검도 전체 23만2천대 중 최근 3개월간 사용 이력이 없는 4만3000대(18.7%)에 대해서만 전수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로는 9월 10일 기준 7만5000대(32.3%)가 미접속 상태였던 것으로 드러나 점검 대상을 축소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최 의원은 "소액결제 해킹 피해를 당하고도 해당 사실을 모르는 소비자들도 있다"며 "KT는 조사 기간을 최소 1년 이상으로 확대하고, 미사용 초소형 기지국 점검 기준도 강화해 재발 방지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건설경기 침체 직격탄, 건설기계 대여금 미납 2000건 넘어
- 중소기업 기술 유출 피해 급증, 반도체·디스플레이 여전
- 퇴직자 증명서 발급기한 5년 확대 추진..."경력단절 근로자 권익 보장"
- 홍기원, AI 전문인력 양성 위한 '인공지능기본법' 개정안 발의
- 1200억 투입 '대왕고래 프로젝트'...첫 정밀분석 결과도 '폭망'
- 해킹사고 늑장·미신고 66건...24시간 내 신고 의무 무색
- 해킹 피해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통신사·정부 불신 증폭
- 최근 5년간 10대 건설사 사고 사망자 113명…올해만 16명 숨져
- 최근 4년간 가상자산 체납액 1461억원 강제 징수...체납자 1만4140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