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피해, 30~50대 집중…1999년 가입자도 포함
김장겸 "무차별적 침해…KT, 책임과 재발 방지 대책 내놔야"
KT 소액결제 해킹 피해가 가입 기간과 세대를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장기 고객부터 최근 가입자까지, 특정 계층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 전방위적 침해였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KT의 책임론이 거세지고 있다.
국민의힘 김장겸 의원이 22일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번 소액결제 피해자는 총 362명으로 이 중 20년 이상 장기 가입자가 10명에 달했다. 1999년 가입자가 3명, 2000년 2명, 2002년 1명, 2004년 4명이었다.
가장 최근 피해자는 2025년 7월 7일 가입자로 확인됐다. 특히 SKT 해킹 이슈가 확산된 시점인 올해 4월 이후 가입자 가운데서도 16명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사별로는 KT가 303명, KT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가입자가 59명이었다.
지역별 피해 현황을 보면 경기 광명시가 233명(피해액 1억 5,124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금천구 59명(4,314만 원) △경기 부천시 소사구 22명(1,757만 원) △경기 과천시 19명(720만 원) △서울 동작구 11명(707만 원)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40대 피해자가 95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와 50대가 각각 90명씩 뒤를 이었다. 60대는 47명, 20대는 36명, 70대 이상은 4명으로 집계돼 30\~50대에 피해가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 5G 요금제 이용자가 262명으로 전체 피해자의 다수를 차지했다.
김장겸 의원은 "피해자 현황을 보면 특정 계층이나 연령이 아닌 무차별적 침해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개인이 아무리 주의를 기울였더라도 막기 어려운 사태였던 만큼, KT에 근본적 책임이 있으며, 손해배상은 물론이고 재발 방지를 위한 확실한 대책을 즉시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KT 폐기 서버 로그 백업 있었다…무단 소액결제 연관성 규명 주목
- 김현 "해킹 불안 커지는데 KISA 기강해이 심각"
- KT 소액결재 피해지역 더 있었다…서초·동작·일산까지
- KT 소액결제 피해, 서초·동작·일산까지 확산…김영섭 대표 사과에도 은폐 논란 가중
- 해킹 피해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통신사·정부 불신 증폭
- 산재병원 의료장비 절반 '노후'…환자 안전 빨간불
- KT 소액결제 피해, 13년 전 보안 경고 무시한 '나비효과'
- 관세청 공직기강 일탈 6년간 150명…63%가 경징계
- 10대 증권사 SOR 구축비용 107억…이헌승 "15% 룰 완화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