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과 레버리지 축소 통한 재무구조 안정화로
수익성도 개선...그룹 지원 속 조달구조 합리화

                            신한투자증권 신사옥 여의도 TP타워 전경. 신한투자증권 제공.
                            신한투자증권 신사옥 여의도 TP타워 전경. 신한투자증권 제공.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신한투자증권의 신용등급을 재확인하면서 전망을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조정했다. 자본 확충과 위험관리 강화, 수익성 개선이 맞물린 결과라는 평가다.

26일 무디스는 신한투자증권의 외화표시 장기·단기 발행자 신용등급을 각각 A3, P-2로 유지했다. 동시에 전망은 안정적으로 상향했다. 이는 수년간 이어졌던 내부통제 문제와 수익성 부진이 개선되고, 건전성 지표가 강화된 점을 반영한 것이다.

무디스는 “신한투자증권은 자산과 레버리지 축소를 통해 재무구조를 안정화했다”며 “저금리 기조와 시장 환경 개선 속에서 수익성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레버리지는 2024년 10.9배에서 올해 상반기 9.7배로 낮아졌고, 금융당국 기준 레버리지비율도 같은 기간 8.3배에서 7.2배로 하락했다.

수익성도 뚜렷한 반등세다. 평균자산수익률(ROAA)은 2023년 0.2%, 2024년 0.3%에 머물렀으나, 올해 상반기 연환산 기준 1.1%로 상승했다. 무디스는 “파생결합펀드(DLF) 등 금융상품 불완전판매와 내부통제 위반에 따른 비용 부담이 줄면서 기저효과가 반영됐다”고 덧붙였다.

조달 구조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단기성 자금 의존도를 낮추고 장기채 발행을 확대해 만기 불일치 위험을 줄였고, 유동성 비율도 규제 기준(100%)을 웃도는 130% 수준을 유지했다. 모회사 신한금융지주와 신한은행의 지원 가능성 역시 중요한 안전판으로 작용했다.

다만 리스크 요인도 제시됐다. 무디스는 “레버리지가 다시 13배를 웃돌거나 단기성 조달 비중이 확대될 경우 등급 하향 가능성이 있다”며 “위험가중자산 비중이 30%를 넘거나 국내 금융시장 환경이 악화될 경우도 부정적 요인”이라고 경고했다. 반대로 “모회사 신한금융의 지원 여력이 강화되거나 정부 차원의 지원 가능성이 높아질 경우 등급 상향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무디스는 신한투자증권의 그룹 내 중요성도 강조했다. 회사는 신한금융의 100% 자회사로, 올해 상반기 기준 그룹 내 세 번째로 큰 이익 기여를 했다. 자본시장 부문 허브로서의 역할을 감안하면 계열사 지원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평가다.

현재 신한투자증권은 총자산 49조5000억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리테일 자산관리·투자은행(IB)·기관 대상 자본시장 서비스를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