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완화 중단, 거의 모든 위원 공감

미 연준 건물. 연합뉴스 제공.
미 연준 건물. 연합뉴스 제공.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달 통화정책 회의에서 12월 기준금리를 그대로 두는 방향에 무게가 실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19일(현지시간) 공개된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은 회의 참석자 상당수가 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 사실을 확인했다.

의사록은 “많은 참석자들은 올해 남은 기간 기준금리를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라고 기록했다.

반면 “몇몇 참석자들은 경제 지표가 각자의 예상대로 전개될 경우 12월 금리 인하가 적절하다는 견해를 냈다”라고 밝혔다. 연준의 정량적 표현 관례를 고려하면 동결 의견이 인하 의견보다 더 우세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10월 회의 직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12월 추가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한 발언 역시, 내부적으로 의견이 갈렸던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의사록은 “참석자들은 12월 회의에서 어떤 정책 결정이 가장 적절할지에 대해 매우 다른 관점을 제시했다”라고 짚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도 연준은 10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75∼4.00%로 0.25%포인트 내렸다. 투표권을 가진 12명 중 다수가 찬성했지만, 스티브 마이런 이사는 0.50%포인트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는 동결을 주장했다.

의사록을 통해 슈미드 총재 외에도 동결 의견에 동조한 위원이 더 있었다는 점이 드러났다. 비투표권 지역 연은 총재들의 발언도 의사록에 포함된 점을 고려하면, 당시 내부 기류는 생각보다 더 복합적이었던 셈이다.

이번 의사록에서 두드러진 또 하나의 흐름은 양적긴축(QT) 종료 의견이 사실상 압도적이었다는 점이다. 의사록은 “거의 모든 참석자가 12월 1일부터 대차대조표 축소를 중단하는 게 적절하다고 언급했다”라고 밝혔다. 은행 지급준비금이 이미 ‘충분한’ 수준에 도달했거나 그 수준에 가까워졌다는 평가가 근거로 제시됐다.

양적긴축은 연준이 보유한 채권을 재투자하지 않거나 매각하는 방식으로 시중 유동성을 줄이는 조치다. 반대로 채권을 사들여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완화와 대비된다. 연준은 지급준비금이 양적완화 시기의 ‘풍부한’ 수준에서 ‘충분한’ 수준으로 내려왔을 때 양적완하를 종료하겠다는 방침을 수차례 밝힌 바 있다.

월가에서는 최근 미국 단기자금시장 불안정이 연준의 이런 판단을 앞당겼다는 해석이 많다. 특히 익일물 담보부 초단기 금리(SOFR)가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를 웃도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서 긴장감이 높아졌다.

통상 SOFR은 은행 간 무담보 금리인 연방기금금리보다 낮게 형성돼 왔다. 여기에 미 재무부의 단기채 발행 증가까지 맞물리면서 단기자금시장의 유동성 여건이 빠듯해졌다는 진단도 나온다.

연준이 12월 어떤 결정을 내릴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다만 이번 의사록은 내부 의견의 간극, 단기자금시장 긴장, QT 종료 공감대 등 향후 정책 변수들을 보다 선명하게 드러낸 기록으로 해석된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금융 #경제 #연준 #FO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