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안전진단 주체 시·군·구에서 시·도로 격상

앞으로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사업에서 분양권을 받으려면 해당 주택에서 2년 이상 거주해야 하고 재건축 사업의 안전진단도 더욱 엄격해진다. (자료=국토교통부)
앞으로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사업에서 분양권을 받으려면 해당 주택에서 2년 이상 거주해야 하고 재건축 사업의 안전진단도 더욱 엄격해진다. (자료=국토교통부)

앞으로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사업에서 분양권을 받으려면 해당 주택에서 2년 이상 거주해야 하고 재건축 사업의 안전진단도 더욱 엄격해진다.

정부가 17일 발표한 '주택시장 과열요인 관리방안'에 따르면 앞으로 수도권 투기과열지구의 재건축 사업에서는 조합원 분양신청 시까지 분양공고일 현재 소유하고 있는 건축물에서 2년 이상 거주한 경우에 한해 분양신청을 허용하도록 했다. 해당 주택에서 2년을 살아야 분양권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로, 기존에는 거주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토지 등 소유자에게 조합원 자격요건이 부여됐다.

이같은 규제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 개정(2020년 12월) 후 첫 조합설립인가 신청을 하는 정비사업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다만, 이미 조합원 자격을 얻은 경우는 소급 적용되지 않는다. 반드시 2년 이상을 연속해서 거주하지 않더라도 합산 기간이 2년 이상이면 분양 신청이 가능하다.

재건축 안전진단의 주체도 현재 관할 시·군·구에서 시·도로 격상된다. 1차 안전진단 기관 선정·관리주체 뿐 아니라 2차 안전진단 의뢰도 모두 시·도가 담당하게 된다.

또 안전진단 보고서 부실작성이 적발되면 과태료(2000만원)를 부과하고, 안전진단 입찰 제한(1년) 등 제재가 가해진다.

2차 안전진단의 현장조사도 강화된다. 지금은 서류심사 위주로 진행됐지만 앞으로는 철근부식도와 외벽마감상태 등 정성적 지표에 대한 검증을 위해 현장조사를 의무화하도록 했다.

2차 안전진단 현장조사는 대책 발표 후 2차 안전진단 의뢰 사업부터 즉시 시행된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