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심삼일로 끝나기 쉬운 금연 어떻게 하나?

httpwww.flickr.comphotos7723128@N046307374507ⓒChuck Grimmett

작심삼일로 끝나기 쉬운 , 금연 어떻게 하나?

담배가 주는 신체적 악영향은? 거의 모든 암을 유발합니다. 피부와 치아의 아름다움을 해칩니다. 체내에 유해물질이 축적되어 2세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연령에 따라 다른 방식, 사회적으로 주어지는 이미지로서 “담배”의 역기능을 차례대로 들어본 기능입니다. 중년은 암에 대하여, 10대는 피부와 치아, 여성에게는 2세에 대한 부작용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남자들이 흡연율이 높은 이유는 자신을 표현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이 여성들 보다 더 서툴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꼭 스트레스를 담배와 술로만 풀 수 있는 건 아니죠.

금연하면 건강과 수명에 관련된 인간의 행동/습관 7가지 중 3가지 이하인 분과 6가지 이상인 분과의 잔여수명 차이가 11년이라고 합니다.

1) 하룻밤 7-8시간의 수면
2) 매일 아침을 들기
3) 간식을 하지 않기
4) 표준체중을 유지하기
5) 규칙적인 운동을 하기
6) 절주나 금주
7) 금연 등이 있는데 금연이 이중 제일 중요합니다.

새해가 시작되면 뭔가 바꿔보겠다고 결심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흔한 게 담배 끊기, 운동 시작하기, 감량하기 등입니다. 내 몸이나 습관 등을 바꾸기를 작심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작심을 하는 과정을 보면 그 이전에 이미 상당한 기간에 걸쳐 해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작심하는 날, 작심을 하고 바로 실행에 옮기는 것이 아니지요. 긴 생각 끝에 드디어 날짜를 잡습니다. 1월 1일, 생일, 금연의 날 등이지요. 이렇게 시작을 했는데 희한하게도 정말 삼일 만에 그만둡니다. 삼일을 넘어가는 사람도 있기는 하지만 길어봐야 일이주 지나가면 흐지부지되지요. 물론 정말로 바꾼 사람도 있기는 하지만 100명에 1~2명 정도가 고작입니다. 작심하는 사람의 대부분이 다 삼일에 끝나니, 사람들은 작심삼일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작심삼일은 전혀 당연하지 않습니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지요. 사실은 작심하니까 삼일이 됩니다. 작심하지 않고 몸을 움직여 행동을 하면 됩니다.

먼저 니코틴 자가 진단표를 먼저 독자들께서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1)아침에 일어나 얼마 만에 첫 담배를 피우십니까?
5분이내면 3점. 30분이내 2점 1시간이내 1점 1시간 지나서 0점

2) 하루에 몇 개비를 피우십니까?
반갑이면 0점. 반갑이상 1갑사이 이면1점,1갑 이상이면 2점, 1갑반이상이면 3점,

3) 금연구역에서 흡연욕구를 참기가 어려우십니까?

4) 하루 중 담배 맛이 가장 좋을 때는 언제입니까?

5) 기상 후 오전 중에 담배를 오후나 저녁시간보다 더 자주 피우십니까?

6) 몸이 아파 하루 대부분을 누워있을 때에도 담배를 피우십니까?

3,4,5,6 문항 중 참기 어려워하고, 담배 맛이 아침에 좋으며, 오전 중에 담배 더 자주 피고, 아픈데 피어도 1점씩 총 4점입니다.

그리하여 총 6개의 문항 중 8-10점이 매우 높은 니코틴 의존도,6-7점은 높은 니코틴 의존도 5점은 중간입니다

담배 한 모금에 니코틴은 90%, 타르는 70%가 흡입됩니다. 발암물질은 최대 40주까지 우리 몸속에 남지만, 니코틴은 금연 후 2시간, 니코틴 대사물은 48시간 동안 몸에 잔류합니다. 또한 간접흡연은 비흡연자의 폐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미국의 경우 최소 한해 3,000명이 간접흡연에 의한 폐암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미국 공중보건위생국 공식 보고서에서는 비흡연자들이 흡연자와 사는 것만으로도, 20~30% 정도 폐암의 위험도가 높아진다고 합니다. 아직 장기나 면역이 완전히 성숙하지 않은 어린이는 간접흡연에 더 취약하다고 할 수 있으니 이글을 보시고 바로 실천에 옮기시는 것이 어떨까요?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홍이승권

 

<돌직구뉴스>후원회원으로 동참해 주십시오. 눈치보지 않고 할 말 하는 대안언론!  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당당한 언론! 바른 말이 대접받는 세상을 만드는데 앞장 서겠습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