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경험을 혁신할 수 있는 기술 분야를 선도적으로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표하는 이미지를 명확히 세우고,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연구개발(R&D) 투자 규모와 속도를 자세히 검토해 실행합시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지난 28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 있는 LG화학 R&D연구소를 방문해 바이오 원료를 활용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폐플라스틱 재활용 관련 기술 개발 현황과 전략을 살피고, 클린테크(친환경 기술) 분야 연구에 매진하는 구성원들을 격려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구 회장은 클린테크 분야의 투자 계획과 R&D 인력 현황을 점검하며 "훌륭한 기술 인재들이 많이 모일 수 있도록,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 채용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도 같이 고민해달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말부터 중장기 사업전략을 점검 중인 LG그룹은 최근 구 회장과 계열사 경영진이 모여 석유화학 사업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클린테크 기술 투자 확대 및 역량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바이오 소재, 폐배터리·폐플라스틱 재활용, 탄소 저감 기술 등 클린테크 사업을 적극 육성할 방침이다.
LG그룹은 클린테크 사업에 앞으로 5년간 2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우선 바이오 소재 분야에서 LG화학은 미국 곡물 기업인 ADM과의 합작법인을 통해 2025년까지 미국에 7만5000t 규모 생분해성 플라스틱(PLA) 공장을 건설한다. 대산공장에 바이오 원료 생산시설과 생분해성 플라스틱(PBAT) 생산시설도 새로 만들 예정이다.
폐배터리 재활용 분야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이 지난해 12월 600억원을 투자해 북미 최대 규모의 배터리 재활용 업체인 '라이사이클(Li-Cycle)' 지분 2.6%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배터리 핵심 소재인 황산니켈을 10년 동안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됐다.
LG화학은 또 황산니켈을 생산하는 국내기업 켐코와 전구체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폐배터리에서 발생하는 금속을 전구체 생산에 활용할 예정이다. 배터리 생산부터 폐배터리 재활용에 이르는 배터리 순환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LG화학은 재활용 플라스틱 개발 역량도 빠르게 구축하고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으로는 만들기 어려운 흰색 플라스틱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했으며, 투명 재활용 플라스틱 제품 개발도 시작했다. 지난 20일에는 충남 대산의 나프타 분해 센터(NCC) 공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이용해 연 5만t 규모의 수소 연료 공장 건설 계획도 밝혔다.
LG 관계자는 "클린테크 분야에서 고객사에 선제적이고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협업, 지분투자, 인수합병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글로벌 기업과 협력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계속 탐색할 계획"이라며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위원회를 통해 ESG 추진 전략을 수립해 실행하고, 올해 하반기에 중장기 탄소 감축 전략, 해외 탄소 감축 사업 개발 등을 구체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유희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