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비용 늘면서 실적하락으로 이어져
시장기능 의한 서민금융회사 역할 필요
저축은행이 금리 경쟁력을 잃은 가운데 조달비용은 높아지면서 존립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 뿐만 아니라 법정금리 인하, 충당금 적립 확대 등 전반적으로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규제완화 필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수신과 채권발행을 통해 여신 자금을 조달하는 은행과 달리, 저축은행은 수신으로 여신 자금 대부분을 조달한다. 시중은행 수신금리가 크게 올라 저축은행 금리와 큰 차이가 없을 경우,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한 저축은행은 예금 고객 이탈이 불가피하다.
고객 입장에서는 금리가 비슷하다면 안전성 높은 은행을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저축은행들은 최근 기준금리 인상으로 수신 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리면서 부담이 커졌다. 이미 연 4%대 예금상품도 등장했다.
조달비용이 늘자 이는 실적 하락으로 이어졌다. 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5대 저축은행(SBI·OK·웰컴·페퍼·한국투자)의 상반기 순익은 363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5.6% 줄었다. 전체 저축은행들의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도 전년 동기보다 약 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이 발표한 ‘2022년 상반기 저축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저축은행 79곳이 올해 상반기 거둔 당기 순이익은 8991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1000억원)보다 15.1%(1601억원) 줄었다. 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이 감소한 것은 올해 들어 가파르게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조달금리도 올라 예대금리차(예금 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가 축소돼서다.
대외리스크에 대비해 저축은행들이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하면서 대손비용도 작년 동기보다 4910억원 늘었다. 금감원은 “대출 증가로 저축은행들이 거둔 이자 손익은 증가했으나, 대손충당금 전입액 등 비용이 더 크게 증가해 순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조달비용 부담이 커지면 대출금리 상승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실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저축은행권의 신용대출 가중평균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지난 7월 기준 연 14.72%로 집계됐다.
저축은행권의 신용대출 가중평균금리는 지난해 12월 연 15.10%로 집계된 이후 올해 1월 14.68%로 14%대로 내려 앉은 뒤 2월, 3월, 4월 연속해 떨어지다가 지난 5월(연 14.7%) 상승 전환했다. 이후 6월(연 14.56%) 다시 하락세로 전환됐지만 지난 7월 한 달 만에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며 15%대에 다가서게 됐다.
이에 OK저축은행은 지난 20일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OK저축은행이 유상증자를 실시한 건 지난 2016년 이후 약 6년만이다. 이는 조달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기 속 수신금리 경쟁이 치열해진 만큼 조달비용 부담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하반기는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정책서민금융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서민금융회사의 리스크 분석·평가 기능이 취약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조성목 서민금융연구원 원장은 지난 22일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최된 '제4회 저축은행 서민금융포럼'에서 "시장기능에 의한 서민금융회사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 원장은 "저축은행의 역할을 서민금융과 연계해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며 "은행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 서민·소상공인 등에 신용을 공급하는 저축은행 본래 역할을 재조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저축은행 산업에 대한 규제 재정비를 통해 서민·중소기업의 신용공급에서 중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성대 기자]
관련기사
- 한신평 "가계대출 비상... 카드∙캐피탈∙저축은행 손익 저하 예상"
- OK저축은행, 예금금리 최대 0.6%p 인상
- 저축은행 상반기 당기순익 8991억원…전년 동기比 15% 감소
- OK저축은행, 만기 1년 연 4.0%(세전) 예금 출시
- 한신평 "BNK금융, 높은 은행부문 의존도... 장기적 사업다각화 중요"
- OK저축은행, 최고 연 3.3%(세전) ‘OK세컨드통장’ 출시
- 상반기 금융권 '금리인하요구 수용률' 1위는?
- OK배정장학재단, 제9기 장학증서 수여
- 상반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3.7억달러 흑자…‘역대 최대’
- 코스피 2300선 붕괴... 원·달러 환율 1409.3원 마감
- 최근 5년간 증권신고서 정정요구 180건... 코스닥사 30% 미흡 대상
- 금감원, 홀인원 보험사기 혐의자 168명 경찰에 수사의뢰
- 개미, 악순환 굴레… 주가↓빚↑신용이자 10%
- 조달 압박, 저축은행 무용론...카드대출 금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