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가 밴드, 9500원 ~1만700원 희망

김철준 티디에스팜 대표
김철준 티디에스팜 대표

경피약물전달 의약품 전문기업 ‘티디에스팜’이 코스닥 상장을 추진한다.

8일 IR 업계에 따르면, 티디에스팜은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티디에스팜의 공모 주식 수는 100만 주로, 주당 희망 공모가 밴드는 9500원 ~1만700원이다.

총 공모금액은 95억~107억원이다. 수요예측은 7월 31일 ~ 8월 6일, 일반청약은 8월 09일 ~ 12일 진행되며, 8월 중 코스닥 시장에 상장될 예정이다.

2002년 설립한 티디에스팜은 경피약물전달 시스템(TDDS)을 활용해 타박상, 근육, 신경통 등에 쓰이는 의료용 카타플라스마 및 플라스타, 패치 등을 제조하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경피약물전달 시스템(TDDS)란 약물을 피부를 통해 제어된 속도로 전달하는 약물 전달 시스템이다. 간, 소화기관 부작용 최소화, 흡수속도 조절, 중단 제어, 유효 혈중농도 조절 및 장시간 연속투여가 가능하고 경구 및 주사제 대비 부담 감소 등 약물에 대한 환자 순응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신약개발 투자비용 감소와 패치, 파스, 화장품, 일반의약 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개량신약 기술이다.

티디에스팜은 TDDS 기반 의약품 개발 및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다층구조설계 ▲친수성 설계 ▲투습, 통기성 설계 ▲복합성분 제제 등 다양한 제제 제형의 제품 설계가 가능한 우수한 제품 구조설계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티디에스팜은 국내 유일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은 한방 복합제제 설계 능력을 보유하고 있 다. 한방 복합제제의 장점으로는 적용성분, 적응증, 효능이 한방 단일제제보다 효과적이며, 부작용 도 적다. 티디에스팜은 이러한 한방 복합제제 설계능력을 적용해 ‘한방동 의고’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다.

티디에스팜은 ‘핫-멜트’ 공법을 이용한 제품 품질 차별화를 두고 있다. 핫멜트 공법이란 피부 접착을 위한 점착제로 유기용매 대신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게 특징이다. 피부 자극이 적고 친환경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티디에스팜은 TDDS 연계 개량신약 패치 개발, 니코틴 패치제 생산, 코스메슈티컬 사업 진출 등 기존 사업 확장과 신규 사업 진출을 통해 외형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니코틴 패치제의 경우, 연간 1억6000만 매 생산 가능한 설비를 올해 도입할 예정으로 설비 완료와 동시에 매출이 발생할 예정이다. 

김철준 티디에스팜 대표는 “티디에스팜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TDDS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나아가고 있다”며 “이번 상장을 통해 국내를 넘어 글 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증권업계에서도 티디에스팜의 성장동력을 기대한 목소리가 있다.

박경수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TDDS 기반 복합제제 설계 기술력과 차별화된 제조를 통해 시장에서의 확고한 지위를 확보했다”며 “일반 수탁사와 차별화된 자체 TDDS제제 개발 프로세스를 갖추어 연구개발 인허가 생산- 마케팅 등 전 과정에 대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또한 티디에스팜이 시장 트렌드에 맞춰 제형과 성분을 고려한 제품을 고객사에 제안하며 시장성 있는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며 “그 결과, 2022년 카타플라스마 시장 점유율 32%로 국내1위를 기록했으며, 한방 TDDS제제 시장 점유 율은 66%를 달성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티디에스팜의 2023년 영업이익률은 16.7%로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흑자를 유지하고 있다. 회사의 부채비율은 2023년 48.1%로 타사 대비 현저히 적은 부채비율을 유지해오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