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은행 10월 가계대출 1.1조원 증가…9월 대비 5분의1 이하
9월부터 시작된 스트레스DSR…시중금리 하락에도 대출 빗장

서울 경리단길에 놓인 주요은행 ATM기. 장석진 기자.
서울 경리단길에 놓인 주요은행 ATM기. 장석진 기자.

10월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과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8월 및 9월 대비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시중금리 인하에도 여전히 대출금리 빗장을 풀지 않는데다 9월부터 시작된 스트레스DSR 2단계도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도 주춤한 모양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0월 가계대출 잔액은 732조812억원으로, 9월 말(730조9671억원)보다 1조1141억원 증가했다. 이는 9월(5조6029억원)과 비교하면 5분의 1 수준, 8월(9조6259억원)과 비교하면 8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증가폭이다.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575조6687억원으로 9월 말(574조5764억원)보다 1조923억원 늘었다. 역시 9월(5조9148억원) 및 8월(8조9천115억원)보다 증가 폭이 크게 감소했다.

신용대출의 경우 9월 말 103조4571억원에서 지난달 말 103조8천451억원으로 한 달 사이 3880억원 증가에 그쳤다. 다만 8월(8494억원)보다는 증가 폭이 줄었으나, 9월(9억원)보다는 증가 폭이 다시 확대됐다.

5대 은행의 정기예금은 지난달 11조5420억원(930조4713억원→942조133억원) 증가했다. 정기적금도 38조74억원에서 38조9176억원으로 9102억원 늘었다.

반면 대기성 자금인 요구불예금은 같은 기간 623조3173억원에서 613조3937억원으로 9조9236억원 줄었다.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해 한 시중은행 여신담당자는 “스트레스DSR 2단계 확대가 9월부터 시작된데 따른 7~8월 주담대 집중 현상이 있어 기저효과가 있는 탓도 있다”면서도 “당국의 가계대출 축소 의지가 굳건함에 따라 서울지역 아파트값 상승률도 주춤하는 등 대출 심리가 수그러드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 3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넷째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8% 상승, 32주째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셋째주(0.09%)보다 소폭 낮은 0.08%로 2주 연속 줄었다. 둘째주 주간 상승률은 0.11%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