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9505만원…5분기 연속 증가에 2금융권 빨간불
국민의힘 ‘박성훈’의원 “취약층 대책 마련 시급”
금리 인하 시계가 더디게 움직이는 가운데, 1인당 가계대출 평균 잔액이 3분기 말 기준 9500만원을 처음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내수부진과 물가상승 등을 상황을 감안할 때 1인당 가계대출 규모가 1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취약 차주 중심의 가계빚 경감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2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3분기 말 기준 1인당 평균 가계대출 잔액이 9505만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 1분기 말 9054만원으로 처음 9000만원을 돌파한 이후 3년 반 만에 500만원이 늘었다. 동 기간 기준금리는 0.5%에서 3.5%로 급등해 증가세에 기름을 부은 것으로 보인다.
증가세는 지난배 2분기 9332만원을 기록한 뒤 올해 3분기까지 5분기 연속 증가해 최근 상황이 더 좋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 가계대출 차주 수는 3분기 기준 1974만명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밝힌 해 말 기준 가구수가 2207만여 가구임을 감안할 때 이와 유사한 수치다.
한 달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올해 3분기 말 0.95%로, 2분기 말보다 0.01%포인트(p) 상승했다.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2분기와 3분기 0.36%로 같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비은행 연체율은 2.12%에서 2.18%로 0.06%p 높아졌다. 비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 2015년 3분기(2.33%) 이후 9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1금융권의 가계대출 조이기에 따른 풍선효과로 취약차주들이 2금융권으로 몰려간 영향으로 보인다.
비은행 금융사는 농협, 신협, 축협, 새마을금고 등 상호저축은행, 상호금융조합, 카드사, 캐피탈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 보험사(보험 약관 대출금 제외) 등을 포함한 개념이다.
한국은행은 전날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최근 비은행권 대출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현상이 확대될 경우 연체 가구 비중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이에 대한 관리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박 의원은 "우리 경제의 뇌관인 가계대출이 급증하지 않도록 촘촘하게 관리하고 취약층의 가계 빚 경감 대책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