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별 대출 평균, 40대 〉 30대 〉 50대 〉 60대
주담대(+3.7%) 및 일반담보대출(+2.1%)↑…신용대출(-5.4%)↓

2023년 기준 대기업 임금근로자의와 중소기업 임금근로자의 평균대출 규모. 통계청 제공.
2023년 기준 대기업 임금근로자의와 중소기업 임금근로자의 평균대출 규모. 통계청 제공.

2023년 기준 임금근로자의 대출 잔액과 연체율이 전년 대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종사자의 평균 대출액(7782만원)이 중소기업 종사자 평균 대출액(4229만원)의 약 1.8배를 기록한 가운데 40대의 대출액이 가장 많았다.

통계청은 27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3년 일자리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잔액은 5150만원으로, 1년 사이 0.7%(35만원) 증가했다.

임금근로자 대출 잔액은 2017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꾸준히 증가했다. 다만 코로나19 팬데믹 말기인 2022년(-1.7%) 금리 상승에 따른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일시 줄어드는 듯 했으나 2023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대출 유형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2038만원으로 3.7%, 주택 외 담보대출도 1754만원으로 2.1% 증가한 반면, 신용대출은 1157만원으로 5.4% 감소했다.

금리 상승에 따라 신용대출은 줄어든 반면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출시 등의 영향으로 주담대 대출이 늘었다는 게 통계청 분석이다.

금융기관별로는 은행 대출이 1.7% 늘어났지만, 비은행권 대출은 1.2% 줄었다.

연체율(대출잔액 기준)은 0.51%로 전년보다 0.08%포인트(p) 상승했다. 2021년 0.41%였던 연체율은 2022년(0.43%)에 이어 2023년까지 2년 연속 상승세가 이어졌다.

연령별 평균 대출은 40대가 779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30대(6979만원), 50대(5993만원), 60대(3745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연체율은 모든 연령대에서 1년 전 대비 상승한 가운데 60대(0.86%)가 최고, 30대(0.31%)가 최저를 기록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 거주자의 평균 대출이 6265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연체율은 0.29%로 가장 낮았다. 반대로 단독주택 거주자는 평균 대출이 2993만원으로 가장 적었지만 연체율은 1.39%로 가장 높아 대조를 보였다.

한편 대기업 근로자의 평균 대출이 7782만원으로 중소기업 근로자(4299만원)의 1.8배 수준이었지만, 연체율은 중소기업 근로자(0.82%)가 대기업 근로자(0.29%)보다 2.9배가량 높았다.

산업별로는 금융·보험업 종사자의 평균 대출이 1억27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숙박·음식업이 2154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연체율은 건설업(1.28%), 숙박·음식업(1.12%) 순으로 높았고, 교육업(0.16%)이 가장 낮았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