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못 한다’ 41.7%, '매우 잘 한다' 4.5%
수출 산단 있는 울산서 73.7% 부정 평가
관세 우려도는 자동차·반도체·철강 순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4월5~7일(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1명을 상대로 미국 발 관세에 대한 정부 대응 평가를 질문한 결과, 긍정 답변이 21.5%, 부정이 68.5%였다.ⓒ스트레이트뉴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4월5~7일(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1명을 상대로 미국 발 관세에 대한 정부 대응 평가를 질문한 결과, 긍정 답변이 21.5%, 부정이 68.5%였다.ⓒ스트레이트뉴스

[스트레이트뉴스 이재영 기자]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관련, 우리 정부 대응의 부정 평가가 70%에 육박하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 조사에서 미국 관세 타격이 우려되는 산업은 자동차, 반도체, 철강 순으로 꼽혔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4월5~7일(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1명을 상대로 미국 발 관세에 대한 정부 대응 평가를 질문한 결과, 긍정 답변이 21.5%, 부정이 68.5%였다(모름 10%). 부정 평가 중 ‘매우 잘 못하고 있다’고 답한 비중이 41.7%나 돼 국민의 우려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긍정 중에서 ‘매우 잘하고 있다’는 답변율은 4.5%에 불과했다.

정부 평가인 만큼 정치 성향이 반영된 듯 보인다. 민주당을 지지하는 층에서 86.6%의 가장 높은 부정 평가율을 나타냈다. 조국혁신당 지지층도 80%(85.5%)를 넘었다. 중도 성향인 무당층에서도 부정 평가가 70%(69.7%)였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도 부정 평가는 45.8%로 긍정 42.8%를 웃돌았다. 정부 외교 대응력에 대한 불신감이 팽배한 분위기다.

지역별로는 보수 성향이 강한 곳으로 알려진 울산에서 부정 평가(73.7%)가 높은 것이 눈에 띈다. 수출 중심 산업단지가 분포된 울산에서 체감경기가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비친다. 연령별로는 제조업 근로자 비율이 높은 40대, 50대에서 부정 평가가 높았다. 각각 80.5%, 74.5%씩 기록했다.

한국 정부의 미 트럼프 관세폭탄에 대한 대응력의 성별, 지역별 평가. ⓒ스트레이트뉴스
한국 정부의 미 트럼프 관세폭탄에 대한 대응력의 성별, 지역별 평가. ⓒ스트레이트뉴스

미국 관세 피해가 가장 우려되는 산업은 자동차(34.7%), 반도체(26.2%), 철강(11.1%), 가전·IT기기(7.6%), 배터리(5.5%), 석유화학(3.8%) 순이었다.

지역 내 공장이 있는 산업 분야가 답변에 영향을 미친 듯 보인다. 현대차 공장이 있는 울산, 충남(아산)에서 자동차를 지목한 답변율이 비교적 높았다. 각각 47.6%, 41.2%씩이다.

삼성과 SK 반도체 공장이 있는 경기도는 기아 공장(광명, 화성)도 있어 자동차 36%, 반도체 24.1%의 답변율을 보였다. 드물게 대전에선 반도체가 35.4%로 자동차 25.7%를 상회했다. 대전시는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연령대나 정치 성향을 떠나 대체로 자동차에 대한 우려가 반도체보다 컸다. 자동차 수출에서 미국 시장의 높은 비중이 고려된 듯 보인다. 최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약 31조원 현지 투자를 약속했지만 관세를 피할 생산 구축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또 현지 투자 확대로 국내 산업 공동화 우려가 번지고 있어서, 관련 현안이 있는 지역들이 무역분쟁에 민감한 것으로 해석된다.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선 국면으로 외교 리더십 부재가 부각되지만, 미국 역내 주가 폭락으로 고관세 정책이 스스로 꺾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전 세계가 관세정책에 반대하지만, 트럼프가 원하는 것은 미국에 공장을 옮기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라며 “그런 정책에 대한 지지 세력 덕분에 밀어붙이고 있다”라고 짚었다.

하지만 그는 “과거 1기 정부도 공약의 30%만 실행되고 70%는 반대에 부딪혀 철회됐다”며 “미국 국민 70%가 주식 투자를 하고 있는데 주가 폭락으로 이어지고 있는 만큼 트럼프의 고관세 정책이 장기적으론 철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조사는 4월 5일부터 7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휴대전화 100% RDD 방식)를 실시한 결과이며 표본수는 2001명(총 통화시도 3만 5868명, 응답률 5.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포인트이다. 통계보정은 2025년 2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림가중)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와 조원씨앤아이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