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액 축소 및 연체채권 정리 확대에도 연체율 늘어
중소기업·자영업 연체율↑...대출기관 신용위험 확대 우려
2월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0.58%로 집계되며 6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2018년 11월(0.6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전월(0.53%)보다 0.05%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25일 금융감독원 발표에 따르면, 2월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9000억원으로 전월보다 3000억원 줄었고,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8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8000억원 증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체율은 두 달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부문별로는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의 연체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4%로 0.07%포인트(p) 상승했고, 이 중 중소법인은 0.90%(+0.08%p), 개인사업자는 0.76%(+0.06%p)로 집계됐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10%로 비교적 낮지만, 전달보다 0.05%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과 유사했다. 주택담보대출은 0.29%로 변동이 없었지만, 신용대출 등 비주담대 연체율은 0.89%로 0.05%포인트 상승해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였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대출기관이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하고, 연체·부실채권 정리 등 자산건전성 관리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관련기사
조성진 기자
jopenman19@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