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환율 동반 하락 영향
4월 수입물가가 석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국제 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동반 하락하면서, 국내에서 수입하는 제품 가격도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16일 한국은행은 ‘2024년 4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발표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기준 수입물가지수는 140.32로 전월(143.04) 대비 1.9% 하락했다. 2월(-1.0%)과 3월(-0.4%)에 이어 석 달 연속 수입물가가 하락한 것이다.
품목별로는 ▲광산품(-4.6%) ▲석탄·석유제품(-4.2%) ▲1차 금속제품(-2.4%)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세부 품목에서는 ▲원유(-7.4%) ▲벙커C유(-6.7%) ▲알루미늄 정련품(-6.4%) ▲2차전지(-8.2%) 등이 수입물가 하락을 주도했다.
이문희 한국은행 물가통계팀장은 “국제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원유 등 광산품을 중심으로 수입물가가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두바이유 월평균 가격은 3월 배럴당 72.49달러에서 4월 67.74달러로 6.6% 하락했다.
다만 수출물가도 하락세로 돌아섰다. 4월 수출물가지수는 133.43으로 전월(135.11)보다 1.2% 낮아졌다. 3월에 0.4% 반등한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하락한 것이다. 환율 영향도 반영됐다. 원/달러 평균 환율은 3월 1456.95원에서 4월 1444.31원으로 0.9% 낮아졌다.
수출 품목 가운데는 ▲석탄·석유제품(-3.6%) ▲화학제품(-2.3%) ▲운송장비(-2.0%) 등이 가격 하락을 보였으며, 세부 항목으로는 ▲벤젠(-12.5%) ▲경유(-3.6%) ▲휘발유(-3.6%) 등이 떨어졌다. 반면 ▲플래시메모리(10.7%) ▲D램(0.4%)은 상승했다.
상품 교역 조건도 개선됐다. 4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93.78로 1년 전보다 1.2% 상승했다. 수출 가격(-4.2%)보다 수입 가격(-5.3%)이 더 많이 하락한 결과다. 한편 수출물량지수가 7.7% 증가하면서,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전년 대비 9.0% 오른 115.16을 기록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