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4개월 만에 전망 상향…금리 인하 속도는 변수

픽사베이 제공.
픽사베이 제공.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이 한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을 소폭 올렸다. 

4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8개 IB의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 평균 전망치는 5월 말 0.8%에서 6월 말 0.9%로 0.1%포인트(p) 높아졌다. IB들이 한국 성장률 전망을 상향 조정한 것은 2023년 2월 이후 처음이다.

바클리,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 UBS 등 일부 기관이 각각 0.1~0.2%p씩 전망치를 상향하며 평균치를 끌어올렸다. 반면 골드만삭스, 노무라, HSBC, 씨티, JP모건은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번 전망 조정은 새 정부 출범 이후의 정책 안정성과 확장적 재정 기조, 미·중 무역 갈등 완화에 따른 수출 개선 기대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상반기 두 차례 추가경정예산의 경기 부양 효과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추경 패키지가 올해 성장률을 약 0.2%p 끌어올릴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다만,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은 변수다. IB들은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지연될 수 있어 성장에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도 국정기획위 보고에서 “8~9월 중 가계대출 급증 가능성”을 언급하며 금리 추가 인하 시기와 속도를 신중히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한은은 이달 10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다음 달 28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금융 #경제 #추경 #GD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