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DSR 시행에 주택·신용대출 심사 ‘보수화’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올해 3분기부터는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가 한층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1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에 따르면, 3분기 국내 은행들의 대출심사 태도를 보여주는 종합지수는 -17로, 전 분기(-13)보다 4포인트 하락했다. 이 지수는 금융기관들이 대출을 얼마나 쉽게 해줄 의사가 있는지를 수치화한 것으로, 마이너스 수치가 클수록 대출 문턱이 높아졌다는 뜻이다.

특히 주택담보대출(-31)과 신용대출(-22)은 전 분기보다 뚜렷하게 보수적인 태도로 전환됐다. 이는 7월부터 시행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규제와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기업대출 부문은 업종에 따라 상황이 엇갈렸다. 대기업에 대한 대출 태도는 전 분기 대비 완화돼(+6), 자금 조달 여건이 개선된 반면, 중소기업 대출은 여전히 보수적이지만 그 강도는 다소 낮아졌다(-14 → -6).

그러나 대출 수요 측면에서는 중소기업의 수요 지수가 11에서 25로 크게 상승해, 경영 불확실성과 유동성 확보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가계의 대출 수요는 주택대출을 중심으로 위축됐다. 

3분기 전체 대출 수요 종합지수는 5로, 전 분기(15)보다 10포인트 낮아졌고, 주택대출 수요는 -6으로 감소 우위로 돌아섰다. 강화된 대출 규제에 부담을 느끼며 가계에서 자금 조달을 포기하거나 지연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면 신용위험 전망은 전반적으로 다소 완화됐다. 가계, 중소기업, 대기업 모두 신용위험 지수가 하락하며 빚을 갚지 못할 가능성에 대한 금융기관들의 우려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단기적인 기대치일 뿐, 실제 부실 위험이 줄었다고 보기에는 이르다는 시각도 있다. 

저축은행과 신협 등 비은행권 금융기관들도 전반적으로 3분기 대출심사를 강화하겠다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신용위험에 대해선 높은 수준을 경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6월, 국내 203개 금융기관의 여신 총괄 책임자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한국은행은 이를 통해 금융시장 전반의 대출 기조와 자금 수요 흐름을 파악하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