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연령·이념 막론하고 '부적합' 압도적
이진숙, 민주당 지지층도 절반 이상 부정적
갑질 논란 강선우도 '부적합'이 곱절 '↑'
강선우, 호남과 40~50세대 '부적합' 10%p 웃돌아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과 자녀 조기 유학 논란이 확산되자,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0일 결국 지명을 철회했다.
이 기간과 겹친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지역·연령·이념을 막론하고 국민 10명 중 7명이 이 후보자에 대해 '부적합하다'고 평가해, 만일 이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했을 경우 역풍을 피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19~21일 사흘간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 후보자에 대해 ‘적합하다’는 응답은 21.3%에 불과했다. 반면, ‘부적합하다’는 응답은 무려 70.8%에 달했다. ‘모름’은 8.0%였다.
서울(72.6%), 인천(75.5%), 경기(71.6%), 부산(73.7%) 등 수도권과 영남 지역에서 부적합 응답은 70%를 훌쩍 넘었으며, 상대적으로 호남권인 광주(63.4%)와 전북(66.6%)에서도 부적합 여론이 우세했다. 대구(68.7%)와 충남(64.7%), 강원(66.9%) 등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도 마찬가지로 부정적 평가가 우위를 점했다.
연령별로도 18~~29세(66.4%), 30대(73.7%), 50대(70.2%), 60대(79.2%), 70세 이상(69.4%) 등 전 세대에서 부적합 응답이 65~80% 사이로 집계됐다. 특히 60대 이상 고령층에서의 반감이 뚜렷했다.
성별로는 남성(70.6%)과 여성(70.9%) 모두에서 70% 안팎의 부적합 평가가 나왔다.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는 거의 없었다.
지지 정당별로 살펴보면, 이 후보자에 대한 평가는 더욱 뚜렷하게 갈렸다. 국민의힘 지지층의 89.2%, 개혁신당 지지층의 83.1%, 무당층의 79.7%가 부적합하다고 답했으며,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조차도 56.4%가 부적합하다고 평가했다. 진보당과 조국혁신당 등 진보 성향 정당 지지층 역시 각각 55.9%, 61.0%가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이념 성향별로도 보수층의 80.9%, 중도층의 72.8%, 진보층의 59.8%가 부적합하다고 응답해, 정치적 성향을 불문하고 이 후보자에 대한 비판 여론이 강하게 나타났다.
적합하다는 응답은 대부분 20% 초중반에 그쳤다. 특히 30대와 60대에서 각각 16.7%, 15.5%로 낮았으며, 상대적으로 호의적인 의견을 보인 진보층에서도 적합 응답 비율은 31.3%에 불과했다.
한편 갑질 논란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적합도 조사에서는 '적합'과 '부적합'이 32.2%, 60.2%로 '부적합'이 곱절 가까이 많았다. 이 대통령의 콘크리트 지지층인 호남을 비롯해 40~50대 중년층도 '부적합'이 10%포인트 높았다. 대통령실은 22일 강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의 재송부를 국회에 요청, 임명의 수순을 밟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사는 스트레이트뉴스 의뢰로 조원씨앤아이가 2025년 7월 19~21일 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2명을 대상으로 ARS(휴대전화 100% RDD 방식, 성·연령대·지역별 비례할당 무작위 추출)로 실시했다. 총 통화 시도는 53,250건, 응답률은 3.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p다. 통계보정은 2025년 6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에 따라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림가중) 방식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조원씨앤아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이 대통령 긍정 평가 소폭 하락, 여전히 60%대 유지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민주당 50.4% vs 국민의힘 30.7%...국힘, 답보 상태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강선우 사퇴 전 여론도 싸늘했다...국민 10명 중 6명 "부적합"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차기 국민의힘 대표, 김문수 1위…지지층에서는 두배 격차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정청래, 차기 당대표 적합도 1위…지지층서도 우세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조국 '광복절 특사' 이뤄질까...찬반 여론 '팽팽'
- 국민의힘 당권 레이스 본궤도...'반탄 vs 찬탄' 구도 뚜렷
- 강선우 논란에 민주당 내 기류 변화…"검증 시스템 정비" 목소리도
- 강선우 결국 자진 사퇴…"당에 큰 부담, 성찰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