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시장이 지난 1월23일 광주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5 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착한소비·착한금융·착한일자리)’에 참석해 76개 유관 기관‧단체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
강기정 시장이 지난 1월23일 광주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5 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착한소비·착한금융·착한일자리)’에 참석해 76개 유관 기관‧단체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

광주시가 중소기업의 실질경쟁력 제고를 위해 시설투자를 유도하는 추가 융자 지원에 나선다.

광주시가 1일 경기 둔화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중소기업을 위해 100억 원 규모의 구조고도화자금을 추가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시는 상반기 지원한 300억 원에 더해 총 400억 원을 지역 중소기업에 융자로 제공하게 된다.

이번 조치는 광주시가 올해초 발표한 ‘2025 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착한 소비·착한 금융·착한 일자리)’의 하나로 추진하게 됐다.

지원 대상은 광주에 사업장을 둔 제조업 전업률 30% 이상인 제조업체 또는 관련 서비스업체이며, 시설자금 10억 원 3년 거치, 5년 균분상환 조건의 최대 10억 원의 시설자금과 최대 3억 원 1년 거치, 2년 균분상환 조건의 최대 3억 원의 운전자금이 지원된다.

특히, 시가 인증한 우대 기업△프리(Pre)-명품강소기업 △명품강소기업 △우수중소기업인 △일자리우수기업 △광주형일자리기업 △산업안전보건우수기업에는 최대 10% 추가 지원 혜택이 주어진다.

적용 금리는 시중보다 낮은 연 2.12%이며, 매출액 또는 영업이익이 10% 이상 감소한 기업에는 0.5%포인트를 추가 인하해 금융부담을 줄여줄 방침이다.

이번 추가 지원은 최근 운전자금에 편중되었던 현상을 개선하고 시설 투자를 유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자금 신청은 9월 1일부터 자금이 소진될 때까지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이 관리하는 기금융자관리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할 수 있다.

이후 심사를 거쳐 광주은행, IBK기업은행, 농협(중앙회),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한국산업은행 등 8개 은행에서 대출을 실행할 수 있다.

홍나순 창업진흥과장은 “이번 구조고도화자금 추가 지원으로 중소기업의 생산·서비스 기반을 강화하고 경영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원한도 증액 등 지역 기업의 수요에 맞춘 다양한 정책을 검토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광주=문종천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