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개발한  0.56㎛(1㎛=100만분의 1m) 크기 2억 화소 이미지센서 '아이소셀(ISOCELL) HP3' 제품.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개발한  0.56㎛(1㎛=100만분의 1m) 크기 2억 화소 이미지센서 '아이소셀(ISOCELL) HP3' 제품.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업계 최소인 0.56㎛(1㎛=100만분의 1m) 크기의 2억 화소 이미지센서 '아이소셀(ISOCELL) HP3'를 공개하고, 올해 안에 양산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1/1.4인치 규격의 '아이소셀 HP3'는 픽셀 크기가 기존 제품보다 12% 줄인 0.56㎛에 불과하다. 모바일기기에 탑재할 카메라 모듈 크기를 최대 20%까지 줄일 수 있다.

2억 화소 전체를 활용하는 위상차 자동 초점 기술인 '슈퍼 QPD (Quad Phase Detection)'이 적용됐으며, 전 화소 자동 초점 기능과 함께 초당 30프레임 8K 초고해상도, 120프레임 4K 고해상도 영상을 지원한다.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조도 차이가 큰 부분이 혼재된 상황에서 노출 시간이 다른 프레임 3장을 합성해 깨끗하고 생생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스태거드 HDR (Staggered High Dynamic Range)' 기능도 있다. 

HP3에 탑재된 '스마트 ISO 프로' 기술은 저감도 이미지를 중감도나 고감도 이미지와 합성해 어두운 장면을 더 세밀하게 표현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14비트(bit) 지원을 통해 이전 제품 대비 색표현력이 64배 좋아졌으며, 조도 조건에 따라 4개 또는 16개의 인접 픽셀을 하나로 묶어 촬영하는 독자기술 '테트라 스퀘어드 픽셀 (Tetra2Pixel)'도 적용됐다.

삼성전자가 아이소셀 HP3를 앞세워 초고화소 이미지센서 시장을 선도하게 되면서, 세계 시장 1위인 소니와의 격차도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소니와 삼성전자의 이미지센서 세계 시장 점유율 격차는 작년 4분기 24.5%에서 올해 1분기 15.9%로 좁혀졌다. 

소니는 현재 40%대인 이미지센서 시장 점유율 사수를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올해 회계연도에 4700억엔(4조 5100억원)을 투자해 나가사키 공장의 이미지센서 생산능력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센서사업팀장 임준서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2019년 업계 최초로 1억 화소 이미지센서 시대를 열었고, 지난해 2억 화소 이미지센서도 최초로 출시하는 등 초소형 픽셀 기술력을 통해 시장의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유희석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