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8월중 금융시장 동향
기준금리 인상 영향 등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던 은행 가계대출이 한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은행 기업대출도 8조원 넘게 증가하면서 통계치 작성 이후 8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8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은 주택관련대출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기타대출 감소폭이 축소되면서 전월 대비 3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증감액은 8월 기준으로 관련 통계치 작성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이었다.
주택담보대출은 주택거래량 감소 등 주택매매 관련 자금수요 둔화에도 집단과 전세자금 대출 취급이 이어지면서 1조6000억원 증가했다.
하지만 기타대출은 대출금리 상승, 정부의 대출규제 지속 등의 영향으로 1조3000억원 감소했다. 8월 기타대출이 감소한 것은 관련 통계치 작성 이후 처음이다.
8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의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 대출도 지난달 8000억원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2조8000억원)이 7월(2조5000억원)보다 커졌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2조1000억원 감소했다.
업권별로는 가계대출이 은행권에서 3000억원, 제2금융권에서 4000억원 늘었다.
은행 기업대출은 코로나19 금융지원과 시설자금 수요, 은행의 기업대출 취급 노력도 이어지면서 8조7000억원 증가했다.
대기업 대출(5조4000억원→2조9000억원)은 회사채 발행여건 악화에 따른 기업대출 수요 등으로 증가세를 지속했다. 중소기업 대출(6조8000억원→5조8000억원)은 코로나19 관련 금융지원 지속 및 중소법인의 운전·시설자금 수요 등으로 상당폭 증가했다.
회사채는 투자수요 위축이 이어지는 가운데 공적기관을 통한 회사채 발행 등으로 소폭 순발행 전환(-1조5000억원→3000억원)했고, CP·단기사채(1조2000억원→3조5000억원)는 일부 공기업을 중심으로 순발행이 확대됐다.
황영웅 한국은행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은행 기업대출은 8월 기준으로 관련 통계치 작성 이후 사상 최고치"라며 "전월대비 증가규모가 계절적 증가요인 소멸 등으로 축소됐으나 예년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성대 기자]
관련기사
- 동학개미들, '버티기' 포기하나
- 달러강세...경제 기초 흔든다
- 서민경제가 무너진다
- 에너지↑→인플레↑→달러↑→경기↓→반도체↓→ 주식↓
- 출국자 증가에 2분기 해외 카드결제 전분기比 19.6% 늘어
- 7월 생산자물가 0.3% 올라…7개월 연속 상승·상승폭은 둔화
-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미국 ‘키높이 맞추기’
- 한은 "물가 오름세 지속 가능성 높아... 금리 인상 기조 이어가야"
- 한은, 추석 전 화폐 4조2000억 공급…전년比 12.8% 줄어
- 2분기 증권사 순익 1조825억원... 전년比 52% 줄어
- 상반기 국내은행 인터넷뱅킹 일평균 이용액 75조... 이용자 2억명 육박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방법... 기업이익 비례적 배분해야"
- 8월 수입물가 전월比 0.9% 하락... 2개월 연속 하락세
- 7월 통화량 전월比 10.4조원 증가... 안전자산 예적금 확대
- 외국인 국내 투자자금 회수… 8월 외화예금 21.1억달러 감소
- ‘하위 10% 최저신용자’에 1000만원 대출...특례보증 29일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