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질적 개선 노력 필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증권시장 내 좀비 중소기업의 신속한 시장 퇴출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12일 국민연금공단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와 함께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열린토론’을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기관투자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정부와 금융당국이 주주 이익을 고려한 환경 조성에 힘써왔다”며 “이제는 기관투자자의 실질적인 투자 확대와 기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연기금과 운용사가 자본시장의 핵심 투자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여 기업의 혁신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금융당국 역시 펀드의 독립적 의결권 행사를 지원하고, 연기금 위탁운용사의 의결권 행사 적정성을 면밀히 점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중소기업의 신속한 퇴출이 어려워 자본시장 내 가치 상승이 제한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상장폐지 절차 단축과 상장 유지 요건 강화에 대한 제도 개선 방안을 정부 내 여러 부처와 긴밀히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자본시장의 효율성과 역동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 및 인프라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복현 원장은 자본시장의 투자자 변화에 대해 해외 사례를 언급하며 “일본 연기금 GPIF의 자국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확대가 시장의 저평가를 해소하고 일본 밸류업 정책에 긍정적으로 기여한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자본시장이 누구나 투자하고 싶은 시장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정부의 일관된 정책과 기관투자자의 적극적인 참여, 그리고 기업의 가치 상승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기업과 경영진의 우려를 불식하면서도 주주를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예측 가능한 규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금융감독원은 국민연금, 한국거래소 등 전문가들의 의견을 경청해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