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금리 역주행…9~10월 매매 반토막
역전세난 걱정할 판…대출난에 신규 전세 수요도 줄어
가계대출 급증과 이에 따른 아파트값 상승에 부담을 느껴 금리인하 실기론까지 재기된 상황이다.지난 11일 38개월 만에 한은이 금리를 인하했음에도 시중은행 대출금리가 역주행하며 서울 아파트가 조정세를 보이고 있다. 한때 우려됐던 역전세난이 재현될 지 모른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잠정지수는 -0.47%를 기록했다. 올해 1월부터 이어진 8개월간의 상승세를 멈추고 하락 전환 가능성이 제기된다.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9월 들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8987건을 기록, 2020년 7월(1만1170건) 이후 3년 11개월 만에 최대를 보였으나, 9월은 신고일이 열흘 밖에 남지 않았음에도 2730건에 그친 상황이다. 이는 이미 대출 금리 인상의 영향권에 들어갔던 8월(6288건)에 비해서도 절반 이하 수준이다. 10월 거래량 신고건도 722건 신고에 그친다.
거래 급감은 당국과 은행의 가계부채 옥죄기의 영향이다.
두 달 연기 끝에 9월부터 시행된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로 대출 한도가 줄고,시중은행이 1주택자에게도 대출은 제한한 탓에 실수요자들이 관망세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막상 한국은행이 지난 11일 기준금리를 0.5%p 낮췄지만 매수심리는 회복되지 않고 있다. 시중은행들이 금리 인하 후에도 주담대 금리를 더 올리는 등 문턱을 높이는 분위기다.
거래가 줄면서 매물은 쌓이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2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물건 수는 총 8만6934건으로 지난 11일(8만5019건) 기준금리 인하 이후 2.2%가 증가했다. 전국 시도 중 매물 증가 폭이 1위다.
매매 뿐 아니라 전세시장도 얼어붙고 있다. 추석 이후 시작되는 이사 수요와 신학기에 대비해 움직이던 예년 시장과 분위기가 다르다는 게 현장을 지키는 중개사무소 대표들의 전언이다.
아실 집계 결과, 20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월세 물건은 총 4만9099건이다다. 불과 보름 전(4만3842건)에 비해 11.9% 늘어난 것으로 전국에서 매물 증가 폭이 가장 크다.
전세가격이 떨어지면서 보증금이 전세가보다 높아지는 역전세에 대한 우려마저 고개를 들고 있다. 이른바 ‘빌라왕’으로 대변되는 전세사기 사태에 대한 악몽이 재현될 가능성이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