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임기 시작과 함께 산업계 전반에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공약에서 언급한 정책이 본격화하면 관련 산업과 기업도 실적 향상이 이어지면서 실질적인 수혜가 나타날 수 있어서다.
6일 산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가 본격 가동에 들어가면 AI와 방위산업, 신재생에너지, 건설 분야 같은 전략 산업에 속한 주요 기업들의 실적 개선이 예상돼 시장에서도 주목도가 오르고 있다.
증권가와 산업계는 새 정부가 공약한 산업 육성책을 중심으로 관련 기업들의 실적 회복과 중장기 성장 모멘텀 확보에 주목하고 있다. 단순한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넘어서 정부의 규제 완화와 투자 확대, 인허가 환경 개선 같은 실질적인 산업 성장 여건이 마련됨에 따라 장기적인 상승세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AI‧반도체 관련 산업 전반으로 수혜 확대 전망
우선 반도체와 인공지능(AI)은 이 대통령의 핵심 국정과제 중 하나로, 정부와 민간이 100조원 규모의 AI 투자 펀드를 조성하고 데이터센터 규제 완화를 추진하는 대규모 투자가 예고돼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기업은 물론, DB하이텍, 실리콘웍스, 원익IPS 같은 장비·파운드리 업체도 수혜가 예상된다.
또 AI 인프라 확대와 함께 데이터센터를 ‘국가전략기술 사업화시설’로 지정하고 규제특례를 적용하는 방안은 관련 기업의 사업 속도와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AI 특구 확대, AI정책수석비서관 신설, 국가 AI 클러스터 조성 등의 계획도 AI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와 AI 솔루션을 보유했거나 인프라 구축력을 갖춘 업인 카카오와 네이버, 삼성SDS, LG CNS, SK AX, KT, NHN클라우드 같은 기업이 산업 성장 수혜권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방위산업 분야도 대대적인 변화가 예고된다. 이 대통령은 방산 수출 확대를 위해 방산 기능을 대통령실 경제수석실로 이관하고, 대통령이 직접 방산수출전략회의를 주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산업계는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HJ중공업 같은 주요 방산조선업체들의 해외 수주 확대 가능성과 함께 한국형차기구축함(KDDX) 사업 재개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KDDX 사업은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경쟁인데, 수의계약 여부와 법적 공방에 따라 사업자 선정 향방이 엇갈릴 수 있다. 업계는 향후 이 사업 결정이 방산업계 전체의 수주 기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신재생에너지‧SOC 투자에 따라 관련 기업 수혜 기대
신재생에너지 정책은 관련 기업들의 실적 회복을 견인할 주요 요인이다. 이 대통령은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함께 석탄발전 폐쇄, 해상풍력 중심의 친환경 에너지 전략을 제시하며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을 강조해왔다. 이에 따라 HD현대에너지솔루션과 한화솔루션, 씨에스윈드, SK오션플랜트 같은 기업이 수요 확대에 따른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특히 햇빛연금과 바람연금 같은 주민참여형 RE100 모델과 해상풍력 단지 조성 계획은 수익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정부의 전력망 선제 투자와 해상풍력 기자재 경쟁력 강화도 산업 기반 확충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 분야에서는 세종 행정수도 완성과 4기 신도시 개발, 공공기관 지방이전 등 대규모 SOC 투자 계획이 발표되면서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두산밥캣 같은 인프라 중심 기업들이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 침체로 위축됐던 건설 경기가 정부 주도의 투자 확대로 반등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평가다.
한편 내수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화폐 확대도 눈에 띈다. 국비 지원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화폐 정책에 따라 코나아이와 웹케시, 쿠콘 같은 핀테크 기업들 역시 수혜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경제 활성화와 연계되며, 중소 상권의 매출 증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 생태계강화 측면에 주목해야”
증권업계 관계자는 “이재명 정부의 산업정책은 구조적 성장 산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단기 주가 흐름보다는 기업의 실적 개선과 산업 생태계 강화 측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AI와 반도체, 방산, 재생에너지 등은 향후 정책 방향과 예산 집행에 따라 본격적인 수혜 구간에 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업종에서는 정책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도 존재한다. 자동차 업계는 친환경차 정책에는 기대감을 보이면서도, 여당이 추진 중인 노동조합법 개정안(일명 노란봉투법)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하청업체의 원청 상대 단체교섭 가능성이 커지면 기업 경영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해 코스피 5000 시대를 열겠다”고 공언하며 상법 개정,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자본시장 제도 개편 의지도 드러냈다. 이에 따라 증권업계와 배당 중심의 우량기업들 역시 점진적 수혜가 기대되는 업종으로 분류된다.
정부 정책이 본격화되면 산업 전반의 구조적 전환이 빠르게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정책 연계 산업과 기업들의 실적 흐름은 중장기적인 관심 요인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