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0주년 현충일 추념식 참석
해상초계기 사고 순직 유가족 위로
'제복입은 시민' 복무 여건 개선

이재명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70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현충탑을 참배하며 분향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70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현충탑을 참배하며 분향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취임 후 처음으로 대통령 자격으로 국가기념일에 참석한 이재명 대통령이 국가유공자와 유가족, 제대 군인에 대한 예우를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6일 오전 서울 동작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70주년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는 최근 해군초계기 추락 사고로 순직한 군인 유가족들을 비롯한 국가유공자 등을 비롯해 정부 요인과 관련 단체 대표, 시민들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기까지 국민과 나라를 위해 헌신하신 국가유공자들에게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소중한 가족을 잃으신 유가족분들께는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초계기 사고 희생자인 고(故) 박진우 중령, 고 이태훈 소령, 고 윤동규 상사, 고 강신원 상사와 서귀표 화재 진압 중 숨진 고 임성철 소방장의 이름을 언급하며 "고인들의 헌실을 뚜렷이 기억할 것"라고 애도를 표했다. 

독립유공자와 민주유공자에 대한 감사의 뜻도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그 빛나는 용기 덕분에 오랜 독재 질곡에서 벗어나 전 세계가 부러워하는 민주주의 모범국가로 우뚝 섰다"며 "국가와 공동체를 위해 희생하는 분들이 아니었으며 결코 이루지 못했을 눈부신 성취"라고 치하했다. 

이 대통령은 "보훈은 희생과 헌신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이자 국가가 마땅히 해야 할 책임과 의무"라며 "모두를 위한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독립운동하면 3대가 망하고 신이라면 3대가 흥한다는 말은 이제 영원히 사라져야 한다"며 "국가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이 자부심과 긍지를 느끼고 품격을 더할 수 있도록 예우는 더 높이, 지원은 더 두텁게, 국가를 위한 희생에 합당한 보상이 이루어지게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국가유공자와 제대 군인에 대한 지원과 보상도 확대하겠다고 했다. '참전유공자 유가족 사각지대 해소', '국가유공자 의료 혜택 확대' 등이다.

이 대통령은 "'제복 입은 시민'들이 아무런 걱정 없이 오직 국가와 국민을 지키기 위해 일할 수 있도록 복무 여건도 개선하겠다. '제복 입은 민주시민'들이 국민을 지키는 동안 대한민국이 군장병과 경찰 소방공무원들을 지키겠다"고 했다. 

아울러 "국민 여러분 순국선열과 호국경영 그래서 지켜온 나라가 더욱 빛날 수 있도록 만든 것은 오늘을 누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공동의 책무"라며 "전쟁 걱정 없는 평화로운 나라 일상이 흔들리지 않는 안전한 나라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그 거룩한 희생과 헌신에 대한 가장 책임 있는 응답일 것"이라고 추념사를 마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