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유예 조치 연장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백악관 홈페이지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백악관 홈페이지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조치를 연장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29일(현지시간) 공개된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국가에 편지를 보낼 것”이라며 “지금이 바로 행동에 나설 때”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자국 무역법에 따라 무역 상대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선언하고, 90일간의 유예 기간을 부여한 바 있다. 

그간 미국은 개별 국가와 협상을 벌여 왔지만, 이날 발언은 더 이상 유예나 협상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그는 “무역 협상의 끝“이라며 ”모든 국가에 편지를 보낼 것이며, 만날 필요도 없다”고 단언했다. 이어 “25%, 35%, 50%, 또는 1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을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과의 자동차 무역 불균형도 도마 위에 올랐다. 

트럼프 대통량은 “일본의 경우, 미국 자동차를 거의 수입하지 않지만, 미국은 수백만 대의 일본 차를 받아들이고 있다”며 “이건 불공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과 큰 무역적자를 안고 있으며, 일본도 그 사실을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의 미국 내 사업 매각과 관련해 “틱톡을 살 사람은 있다. 매우 부유한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 시절 도입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대해서도 불만을 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기에 돈을 주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도, “이미 일부 프로젝트가 시작됐기에 중단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절충적 태도를 보였다.

이민 정책과 관련해서는 “나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이민 정책 지지자이지만, 동시에 농민의 강력한 옹호자”라고 자평했다. 

그는 “농장과 호텔 등 노동집약 산업에서 일하는 불법 이민자 전원을 단속할 경우 산업 붕괴가 우려된다”며, “이를 위한 임시 허가증 제도를 마련 중”이라고 덧붙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