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4일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서, - 23일엔 ‘작지만 소란한 공론장’ 통해 오월 재발견
[스트레이트뉴스 광주=문종천 기자] 오월 광주 유산을 물려받은 젊은 세대의 모습을 담은 전시회와 이들이 바라보는 5·18에 대한 나눔과 소통의 담론장이 광주에서 열린다.
16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 청년들의 5·18민주화운동 이야기를 담은 '비연결, 연결, 재연결' 전시가 16일부터 24일까지 남구 양림동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에서 열린다.
또 청년 누구나 5·18을 이야기할 수 있는 담론의 장인 '작지만 소란한 공론장'도 연다.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시민 공모 사업으로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최진웅 사진작가와 김꽃비 문화 기획자가 손을 잡고 5·18이 현재 광주 청년들의 삶에서 어떤 의미이며, 오월을 통해 어떻게 다시 세상과 재연결(계승) 되는지에 대해 작품을 통해 전하는 '연결을 향한 기록의 여정'이다.
전시는 '연결'을 상징하는 색색의 털실을 들고 카메라 앞에 선 청년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 작품들이 특히 인상적이다. 보는 관객들로 하여금 스스로 ‘내게 5·18은 어떤 의미일까?’라는 질문을 하게 한다.
최진웅 사진작가는 “5·18의 미래 세대인 더 많은 청년들이 오월을 마주하고 재연결되기를 바란다”는 소회를 전했다.
전시 연계 프로그램인 '작지만 소란한 공론장'이 23일 오후 7시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에서 '연결된 나의 재발견'이라는 주제로 열린다.
오월 광주를 유산으로 물려받은 광주 청년들이 생각하는 5·18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며, 5·18에서 잘 들리지 않았던 청년들의 목소리를 주목함과 동시에 5·18의 세대 확장에 기여할 예정이다.
김꽃비 문화 기획자를 좌장으로 최진웅 사진작가, 김혜선 5·18기념재단 글로컬센터, 박제상 마을 청년 활동가가 패널로 참여한다.
관련기사
- 박수기 의원 “1급 발암물질 지하수 오염 2년간 모르쇠…광주시의 무책임·안일 행정 탓”
- 광주시 “불법 부동산 투기·탈세 온상 ‘농업법인’ 설자리 없다”
- 광주시교육청, '세계로 미래로 노벨 과학자의 길' 운영
- 이명노 시의원, 흉물 ‘서진병원’ 무대책 질타…광주시 “철거 등 실익 없어”
- 광주시립미술관, '생태예술놀이정원 물놀이장' 19일 개장
- 광주시, 어등산관광단지 개발 ‘순항’
- 이귀순 의원 “광주시, SRF 중재 결정 전면 재검토해야…시민 모르게 수천억 부담 위기”
- 전남도, 여수 석유화학 위기 극복 '총력'… 3,700억 단기 지원·특별법 제정 추진
- 광주시, 17일 '2030 공업지역 기본계획' 공청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