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 시작한 지난해 10월 직전 조사 56.4% 대비 10.7%p 낮아
국민 43.2% 현 금리수준 유지 및 인상 원해…4050만 금리인하 희망 ‘과반’
향후 금리인하를 희망하는 국민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부담보다는 금리인하가 가져올 물가상승 등에 더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중국 등 주요국들이 최근 금리 동결에 나서는 상황에서, 내수 부양을 위해 금리인하를 해야 하는 정부 입장과도 배치돼 귀추가 주목된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7월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2명에게 ‘향후 기준금리 선호 방향’을 물은 결과, ‘금리인하’를 원하는 국민은 45.7%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기간 3.5%에 머물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10월 처음으로 내리기 직전, 스트레이트뉴스가 동일하게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56.4%의 국민들이 금리인하를 원했던 것과 차이를 보인다.
43.2%의 국민들이 금리동결 또는 금리인상을 원하는 가운데, 11.1%의 국민은 ‘모름’이라고 답했다. ‘모름’ 답변이 한 자리수(8.1%)에 그친 10월 조사 당시보다 금리 방향에 대해 의견제시를 못하는 답변자가 3.0%p 늘어난 셈이다.
권역별로 금리인하를 희망하는 응답률은 가장 낮은 대구·경북(40.0%)부터 가장 높은 인천·경기(48.9%)까지 소폭 차이를 보였으나, 그 편차는 크지 않았다.
다만 연령별로 40대(50.6%)와 50대(51.1%) 과반이 금리인하를 희망한 가운데, 20대 이하(39.9%), 30대(40.1%), 60대(49.4%), 70대 이상(39.9%) 등 나머지 연령대에선 모두 금리인하 희망자가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한편 이념 성향별 금리인하 선호는 스스로를 진보로 인식하는 답변자(51.4%)가 보수로 인식하는 답변자(41.6%)보다 9.8%p 가량 높게 나타났다.
주요국들은 최근 금리결정에서 동결을 선택하며 신중한 모습이다.
미 연방준비제도는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4.50%로 하향한 이후 반년이 넘도록 금리를 묶어두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의장에 대해 ‘얼간이’라는 표현을 쓰며 “금리가 지금보다 1% 낮아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지만 고용과 소비지표 등이 견조하고 관세전쟁의 와중에도 기업들의 실적이 흔들림이 없어 당분간 금리가 내려갈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21일 중국인민은행도 금융기관 대출 기준금리인 우량대출금리 1년물LPR 3.0%, 주택융자금리기준인 5년물LPR 3.5% 등으로 금리를 동결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해 10월 금리를 0.25%내린 후 올해 5월까지 7개월간 유지하다 5월에 0.10%씩 하향했으나 다시 동결 기조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은 지난 10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만장일치로 2.5%의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지난 가계대출 총액 상한을 6억원으로 하는 6.27 부동산 정책으로 집값 급등이 잠시 숨고르기 양상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는 무리라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올해 기준금리 결정은 8월, 10월, 11월 세 차례 남았지만, 한은은 가계부채와 부동산 가격이 모두 잡혀야 금리인하를 단행하겠다는 완강한 입장을 보여 연내 추가 인하가 가능할 지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 증권사 이코노미스트는 “주식, 가상자산, 원유 등 자산가격의 상승은 전 세계적 현상이고, 금융시장이 동기화돼 있는 상황”이라며 “기축통화국도 아닌 한국이 일방적으로 무리한 금리인하를 단행할 경우 국내에서 자금이탈이 일어날 수 있어 신중함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스트레이트뉴스 의뢰로 조원씨앤아이가 2025년 7월 19~21일 3일간 전국 남녀 만 18세 이상 남녀 대상으로 ARS(휴대전화 100% RDD 방식, 성, 연령대, 지역별 비례할당 무작위 추출)를 실시한 결과다. 표본수는 2002명(총 통화시도 5만3250명, 응답률 3.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p다. 통계보정은 2025년 6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림가중)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조원씨앤아이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