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773억·65개사업 추진…모빌리티·에너지·반도체·인공지능 연계 추진
강기정 시장이 RISE사업 출범 일성으로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AI 모빌리티 시티 조성을 위한 초석이 광주 RISE사업이다…호남의 인재·미래 먹거리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광주시는 17개 지역 대학과 함께 총 773억 1천만원 규모의 '라이즈(RISE) 사업'을 공식 출범시키며 지역과 대학, 산업의 상생 발전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3일 전남대학교 민주마루에서 열린 '광주 라이즈 비전 선포식'에는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신수정 시의회 의장,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참여 대학 총장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참가자들은 지역(지)·산업(산)·대학(학)·연구기관(연)의 협력을 통한 교육·산업 선순환 생태계 구축에 대한 공동 의지를 다졌다.
행사는 공동위원장을 맡은 강기정 시장과 이근배 전남대 총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신수정 시의회 의장과 이정선 광주교육감의 축사가 뒤를 이었다. 이들은 지역혁신과 대학 간 협력의 중요성과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를 한뜻으로 전했다.
이후 참가 대학들은 비전 선언문 낭독을 통해 △광주형 지역혁신체계 구축 △지역 인재 양성 △산업 혁신 및 지역 현안 해결 △청년 정주형 도시 만들기 등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
광주시는 앞서 올해 상반기 4대 프로젝트, 14개 단위과제를 수행할 17개 대학을 선정했다.
이번 사업은 총 65개 세부사업 773억1000만원 규모로 2029년까지 5년간 추진된다. 이를 통해 광주의 주력 산업인 모빌리티, 에너지, 반도체, 인공지능(AI) 분야와 연계해 석·박사 인력 1000명 배출, 창업기업 3만5000개 달성, 대학 졸업 후 지역 내에 취업하는 정주 취업률 40% 달성이라는 핵심 목표 달성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RISE 사업이 단순한 대학 지원을 넘어 지역과 대학, 산업, 학생, 기업 재직자, 일반 시민까지 아우르는 통합 생태계 조성에 일조해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로 발전·안착을 기대하고 있다.
강기정 시장은 “이번 비전 선포식은 청년이 떠나는 도시가 아니라 돌아오는 도시, 기업이 성장하는 도시, 시민이 살기 좋은 도시로 나아가는 상징적인 출발점”이라며 “광주시와 17개 대학이 힘을 모아 광주를 교육혁신의 중심지이자 글로벌 혁신도시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광주=문종천 기자]
관련기사
- 광주 남구, 전국 ‘장기기증’ 감소세 속 ‘증가세’ 주목
- 광주시, 세계양궁선수권대회 D-3 '세계양궁연맹 총회' 2일 개막
- 광주 에이스 페어, K-문화콘텐츠 글로벌 진출 교두보 ‘톡톡’
- 광주교육청, 내년 교육용품 구매비 지원 중·고교생으로 확대
- 광주·전남 특별지치단체 연내 출범…초광역경제권 '시동'
- 광주시, 호우피해 ‘긴급 생활안정지원금’ 258억 등 총822억 투입
- 광주 서구, AI 시대 어르신 맞춤 '스마트경로당' 50곳 개소
- 광주교육청, 전국상업경진대회서 금 8·은 7·동 10 쾌거…직업계고 비교우위 확인
- 광주 남구, 가로등 100% LED 교체… '안전·절전 두 마리 토끼 잡았다'
- 우원식 의장, 디자인비엔날레 방문..."광주비엔날레, 세계 속 K-컬처·민주주의 디딤돌"
-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 추진기획단 출범
- 광주시, 마륵동 탄약고 이전사업 '탄력'…내년 공사비 15억 국비 확보
- 광주시, '부실공사, 원천 차단한다'…전국 최초 '레미콘·아스콘 생산공장 기동반' 도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