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료 체계 개편·채널 다양화
보험사 전략 재정비와 당국 지원 병행 필요
보험영업 시장의 신뢰 회복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개혁 방향이 제시됐다. 보험연구원은 최근 ‘보험개혁회의 내용과 과제: 보험영업’ 보고서를 통해 금융당국이 추진한 제도 변화와 향후 과제를 정리하면서, 보험사와 영업조직이 소비자 중심의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4일 보험연구원은 CEO 리포트를 통해 “보험은 생활 안정과 사회적 위험 분산에 필수적이지만, 불투명한 영업 관행과 변화에 대한 대응 부족으로 소비자 만족도와 신뢰도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소비자 선호와 경영환경 변화로 판매 위탁이 늘고 있으나 적절한 통제가 부족하고, 보험사는 새 회계제도 도입에 대응해 사업비 지출을 확대하며 영업 효율성 측면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또 상품별 수수료 편향과 정보 비대칭 문제로 시장 참여자 간 신뢰도도 약화되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신뢰 회복과 혁신을 목표로 수수료 체계 개편, 위탁자와 수탁자의 책임 강화, 판매채널 다양화, 영업 인프라 개선 등 네 가지 축으로 제도를 손질하고 있다. 모집수수료 분급 확대, 법인보험대리점(GA) 내부통제 강화, 금융기관 보험대리점 규제 개선, 비교·추천 서비스 고도화, 설계사 신뢰정보 제공 등이 핵심 과제로 꼽힌다.
연구원은 이러한 변화가 보험사와 판매자, 소비자 모두의 행동 변화를 촉발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험사는 수수료 체계 개편과 책임성 강화의 직접적 영향을 받게 되고, 판매조직은 GA 시장 재편 등 구조 변화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소비자는 채널 다양화와 비교 서비스 확대를 통해 상품 선택권이 넓어질 전망이다.
보험사는 이에 대응해 내부조직 정비, 영업조직 관리 강화, 채널 운영 전략 재수립, 상품 개발 등을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 역시 제도가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세부 운영기준을 마련하고, 급격한 시장 변화에 대비한 감시 기능 강화와 보완 조치 마련, 합리적 의사결정을 돕는 인프라 구축이 요구된다.
김동겸 보험연구원 보험산업연구실장은 “영업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보험사가 기민하게 대응하고, 금융당국이 안정적 제도 정착을 지원할 때 비로소 소비자 신뢰 회복과 보험산업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