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8월 말 폐기 계획을 8월 1일로 앞당겨
KISA "복구 불가로 조사 난항"
최민희 "민관합동조사단 꾸려 진상 파악해야"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 연합뉴스. 

 KT 해캥 의혹 관련 증거인멸 의혹이 제기되며 진상조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은 4일 "KT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해킹 의혹 통보를 받은 직후, 원래 계획보다 앞당겨 원격상담시스템 서버를 폐기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KT는 계획에 따라 서버를 폐기했다고 주장하지만, 정부기관의 해킹 의혹 통보를 받은 뒤 문제의 서버를 폐기한 것은 그 의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KT가 의도적으로 서버를 폐기했다는 의혹이 한층 더 짙어졌고 진상조사를 위해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낱낱이 파헤칠 필요성이 더 커졌다"고 지적했다.

KISA 자료에 따르면, KT는 애초 구형 서버 폐기를 8월 21일 이후로 계획했지만 해킹 의혹이 제보된 뒤 이를 변경해 8월 1일에 서버를 폐기했다. KT는 "업무 영향도가 낮고 비용 효율성을 고려해 병행 운영기간이 필요하지 않아 기존 시스템을 퇴역처리했다"고 해명했으나, 이는 7월 2일 내부 회의에서 결정된 1~2개월 병행 운영 후 8월 말 이후 폐기’ 방침과 배치된다.

KT 원격상담시스템 솔루션 전환을 위한 회의결과. KT/최민희 의원실. 

실제 7월 19일 KISA가 KT에 해킹 의혹을 통보한 직후, 구로·광화문 고객센터의 시범운용도 돌연 중단됐다. KT는 7월 21일 KISA에 "침해사고 흔적 없음"을 통보했지만, KISA는 문제 서버가 원격상담시스템 서버라는 사실을 뒤늦게 인지하고 8월 12일 관련 자료를 요청했다. 그러나 KT는 "서버를 폐기해 제출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해당 서버는 가상 서버로 폐기 시 복구나 포렌식 자체가 불가능해 현재 조사가 큰 난항을 겪고 있다.

최 의원은 "과기부는 해킹뿐만 아니라 KT의 증거인멸 의혹에 대해서도 철저하게 사실관계를 밝혀야 된다"며 "민관합동조사단을 통해 신속히 진상을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