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역난방공사가 몽골과 카자흐스탄에 이어 키르기스스탄과의 협력을 공식화하며 '북방 비즈니스'를 확장했다.
한난은 키르기스스탄의 수도 비슈케크 시청 및 에너지부와 각각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비슈케크시가 인구 집중과 노후화된 난방 시설로 인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시작됐다.
한난은 비슈케크시와의 협약을 통해 고효율 친환경 K-난방 시스템 도입, 탄소중립 전략 수립, 그리고 지역난방 운영 및 유지관리 기술 교육을 제공하기로 했다.
특히 이번 MOU는 지난 6월 주한 키르기스스탄 대사가 한난 본사를 직접 방문하여 한국의 지역난방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협력을 요청하면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당시 대사는 한국의 기술이 우즈베키스탄에서 추진 중인 지역난방 현대화 사업과 유사한 성공을 키르기스스탄에서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아이벡 비슈케크 시장은 "한국의 축적된 지역난방 경험은 우리 도시의 열 공급 인프라 현대화와 환경오염 개선에 필수적인 해법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했다. 이어서 진행된 키르기스스탄 에너지부와의 협약은 국가 차원의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화 로드맵, 재생에너지 연계 열 공급 모델 개발, 그리고 선진 난방 기술 협력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리스베코프 에너지부 차관은 "이번 MOU는 재생에너지 활용, 효율 향상, 환경 개선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파트너십"이라며, 한국과의 협력이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앞당길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난 정용기 사장은 "이번 협약이 도시와 국가 차원의 이중적 협력 구조를 동시에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하며, 한국의 K-난방 모델을 통해 키르기스스탄의 에너지 문제 해결과 대기 환경 개선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중앙아시아에 K-난방 트레이닝 과정을 마련하여 한난의 선진 기술과 스마트 통합운영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공유할 것을 약속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한난의 이번 북방 비즈니스 전략이 단순한 기술 협력을 넘어 제도적, 정책적 파트너십으로 격상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번 MOU가 중앙아시아 전역에 'K-난방' 모델을 확산시키는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트레이트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