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창 감성조망대 개장·광주송정역 투자심사 통과 등 민선8기 역점사업 속도
광주시의 역점사업인 ‘5대 신활력벨트 조성’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며 ‘활력이 넘치는 꿀잼도시 광주’로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광주시는 서창 감성조망대 개장, 광주송정역 KTX 투자선도지구 투자심사 통과, 광주역 빛고을창업스테이션(스테이지) 개관 등 주요 사업이 속속 결실을 맺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5대 신활력벨트’는 영산강·황룡강과 광주천, 광주송정역, 광주역, 효천역을 잇는 5개 거점을 중심으로 도시재생, 창업지원, 문화 콘텐츠를 결합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사업이다.
5대 신활력벨트의 첫 결실은 ‘영산강·황룡강 익사이팅벨트’의 대표 사업인 서창 감성조망대다.
영산강 옛 서창포구 일원에 조성된 이곳은 10월 1일 공식 개장하며 시민들에게 새로운 여가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송산섬 테마시설’을 포함한 6개 선도사업이 행정절차를 밟고 있어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고 있다.
‘광주천 생태힐링벨트’는 생태와 문화가 공존하는 도심 속 휴식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광주천을 따라 자전거 도로와 보행로를 신설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며, 올해 초 문을 연 광주공원 앞 ‘청춘빛포차광장’은 시민들의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그동안 답보 상태에 있던 ‘광주송정역 활력벨트’의 핵심 사업인 KTX 투자선도지구 개발이 본격화된다. 지난 8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투자심사를 통과하며 총사업비 5,943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융복합단지 조성에 시동을 걸었다. 더불어 광주송정역 역사 증축 공사도 9월 말 계약을 앞두고 있어 호남의 대표 관문역으로서 위상이 높아질 전망이다.
‘광주역 창업벨트’는 호남권 최대 규모 창업 플랫폼인 빛고을창업스테이션(스테이지)을 중심으로 활기를 띠고 있다. 지난 6월 문을 연 이곳에는 현재 30개 기업과 투자기관이 입주해 창업과 글로벌 진출을 돕고 있다. 이와 함께 광주역 도시재생 뉴딜사업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어 푸른이음센터, 문화마당 등 시민 공간을 확충하고 있다.
‘효천역 디지털콘텐츠벨트’는 광주실감콘텐츠큐브(GCC)를 중심으로 미래 콘텐츠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고 있다. 게임, 웹툰 등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는 'GCC사관학교'는 2기 교육생 140명을 선발해 교육 중이며, 민선 8기 출범 이후 17개 콘텐츠 기업을 유치해 220명의 지역 인재를 신규 채용하는 성과를 냈다.
이승규 신활력추진본부장은 “5대 신활력벨트는 교통, 창업, 문화, 도시재생이 결합된 시너지로 시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들어낼 것”이라며, "도시이용인구 3,000만 명 달성을 목표로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광주=문미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