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선 대비 운행 횟수, 좌석 수 현저히 낮아…주말에는 '좌석 전쟁' 극심
강기정 시장 "KTX 호남선 증편은 민생과제이자 국민이동권 보장"
광주 지역사회와 정치권이 고속열차(KTX) 호남선 운행의 불공정 해소를 정부에 강력히 요구했다.
광주시는 광주시의회, 5개 자치구, 광산구의회, 시민등과 함께 23일 광주송정역 광장에서 ‘KTX 호남선 차별·불공정 해소 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정부에 KTX 운행 개선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서용규 광주시의회 부의장과 시의원들, 박병규 광산구청장, 김명수 광산구의회 의장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KTX 호남선 운행 차별이 극심하다"며 개선을 요구했다.
광주시에 따르면 현재 평일 기준 KTX 운행 횟수는 경부선 115회, 호남선 55회로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이용 가능한 좌석 수도 경부선(9만 9,001석)이 호남선(3만 7,573석)보다 2.6배 많다.
특히 주말에는 경부선과의 격차가 3배로 벌어지는 등 KTX 운행 배차 횟수와 차량 규모(좌석 수, 신형)에서 극심한 차별이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KTX 이용객이 폭증하는 주말(금~일)에도 경부선은 1일 21회 증편하지만, 호남선은 1회 증편에 그친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출퇴근 시간대(오전 7~9시, 오후 5~7시)에도 경부선은 주말 4회 증편되는 반면, 호남선은 추가 증편이 전혀 없다.
이로 인해 주말 호남선 KTX는 평균 이용객이 4만 명을 넘어서며 '좌석 전쟁'이 벌어지는 실정이다.
차량 편성에서도 차별이 드러난다. 편당 좌석 수가 많은 KTX-1(955석)과 신형인 '청룡'은 경부선에 집중적으로 투입되는 반면, 호남선에는 상대적으로 좌석 수가 적은 KTX-산천(379석)이 주로 운행되고 있다.
광주 지역사회는 정부와 코레일에 즉각적인 개선을 요구하며 실현 가능한 3단계 해법을 제시했다.
단기적으로는 주말, 명절, 피크시간대에 좌석이 많은 KTX-1(955석)을 투입하거나 KTX-산천(379석) 열차 2대를 연결(중련열차, 758석)해 좌석 공급을 늘려달라고 요구했다. 또한 서대전을 경유하는 열차를 호남고속 열차에 대체 투입해 줄 것도 요청했다.
중장기적으로는 평택~오송 2복선화가 완료되는 2028년에 맞춰 호남선 선로용량을 16회 이상 확보하고, 신규 도입되는 KTX-청룡(515석) 열차를 호남선에 우선 배정해 줄 것을 촉구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호남선 KTX 증편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민생과제이며, 불공정 운행 해소는 국민 이동권 보장의 핵심" 이라며 "정부가 호남민들의 절실한 요구에 실행가능한 정책으로 응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광주=문미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