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준희 방산중소벤처기업협회 회장이 2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방AI 응용을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활용전략’ 세미나에서 AI 등 첨단기술이 국방에 미칠 영향을 전망하고 대한민국 방위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방산중소벤처기업협회 제공
원준희 방산중소벤처기업협회 회장이 2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방AI 응용을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활용전략’ 세미나에서 AI 등 첨단기술이 국방에 미칠 영향을 전망하고 대한민국 방위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방산중소벤처기업협회 제공

AI와 디지털트윈이 단순한 보조 기술을 넘어 무기체계 전반에 필수 기술로 자리 잡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방위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원준희 방산중소벤처기업협회 회장은 2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방AI 응용을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활용전략’ 세미나에서 “국방AI와 디지털트윈은 무기체계의 설계·개발·운용을 아우르는 핵심 기술”이라며 “AI 시대를 선도할 차세대 방산 혁신의 시작이자 우리 국방의 미래를 여는 도약의 순간”이라고 말했다.

세미나는 부승찬 의원실과 방위사업청이 주최해 국방AI 응용 사례 연구와 소요 예산 규모를 점검하고, 국방 분야 중장기 전략 방향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원 회장은 ‘국방 AI 및 디지털전환과 시스템 엔지니어링 발전방안’을 주제로 발표하며 △AI·디지털트윈 기반 무기체계와 훈련·정비체계 통합 △중소벤처기업 중심의 방위산업 생태계 조성 △기술 개발에서 표준화·인증·조달·수출로 이어지는 전 주기 지원 체계 △민군 협력 강화에 따른 글로벌 경쟁력 확보 등을 강조했다.

또 AI 무기 운용체계와 디지털트윈 활용 훈련, 유지보수, 작전 설계 사례를 소개하며 윤리·법적 기준 정비의 필요성도 짚었다. 그는 “지금의 변화는 단순한 제도 개선이 아니라 기술 중심의 전략 패러다임 전환”이라며 “과감한 도전과 국가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역설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