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자 특성별 맞춤형 메시지 강조
“담배 유해 성분 공개를 둘러싼 논의는 이제 ‘공개 여부’가 아니라 ‘어떻게 공개할 것인가’로 옮겨가야 한다.”
최홍림 선문대 교수가 30일 서울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에서 열린 한국PR학회 특별 세미나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오는 11월 1일 ‘담배의 유해성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을 앞두고, 금연 캠페인과 정책 소통 전략을 PR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PR학회가 ‘금연 캠페인의 공중관계 중심 패러다임 전환’을 주제로 열었다. 학계와 연구자들은 담배 유해 성분 공개가 단순한 알림을 넘어 국민 행동 변화를 이끄는 효과적 소통 전략이 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고영지 광운대 교수는 “유해 성분을 수치와 그래프로 제시할 경우 흡연자뿐 아니라 비흡연자까지 유해성에 대해 더 알고 싶어 하는 경향이 높아졌다”며 “이는 금연 의도와 금연 권유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발표했다. 그는 담배 유해성 관리법이 “단순 고지에 그치지 않고, 더 알고 싶도록 유도할 때 공익적 설득 효과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유현재 서강대 교수는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하며 “단순히 44개 성분을 나열하면 금연 시도 의향은 14%에 불과하다”며 “흡연자, 비흡연자, 과거 흡연자 등 대상별 맞춤형 메시지와 단계별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성욱 부산대 교수는 “중증 흡연자에게는 감성적 호소보다 근거 있는 정보형 메시지가 효과적”이라며 “전자담배 사용이 늘고 있는 만큼, 전자담배 성분까지 포함한 정교한 공개와 소구 전략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정휘관 한신대 교수도 “흡연 행위가 세대별 문화와 정체성으로 자리 잡는 상황에서 단순 정확성만으로는 부족하다”며 “디자인, 메시지, 채널을 조율한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종합 토론에서는 WHO가 저감을 권고한 발암물질 중심의 정보 공개와 QR 연계를 통한 세부 정보 제공 등이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됐다.
세미나를 마무리하며 유선욱 한국PR학회 회장은 “법 시행을 계기로 건강 캠페인의 패러다임을 국민과의 관계 형성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며 “정책 초기부터 소통 전문가가 기획에 참여할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