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및 기술주 중심 매물 쏟아져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으로 고용지표 발표가 미뤄진 가운데, 오후 들어 인공지능(AI)과 기술주 중심의 매물이 쏟아지며 상승세가 꺾였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51%(238.56포인트(p)) 오른 4만6758.28, S&P500지수는 0.01%(0.44p) 오른 6715.79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반면 나스닥지수는 0.28%(63.54p) 내린 2만2780.51을 기록했다.
연방 정부 셧다운으로 9월 비농업 고용보고서가 발표되지 못하면서 연방준비제도의 정책 판단에도 불확실성이 커졌다.
이날 오후장에는 6거래일 연속 상승에 따른 피로감이 겹치며 차익실현 매물이 집중됐다. 특히 AI·반도체주가 약세를 보이며 나스닥 하락을 주도했다.
아마존·메타·테슬라는 2% 안팎 떨어졌고, 팔란티어는 미군의 시스템 위험성 지적 보도로 7% 넘게 급락했다. 반면 양자컴퓨팅주는 리게티 13%, 퀀텀컴퓨팅 7% 상승으로 강세를 이어갔다. 업종별로는 헬스케어와 유틸리티가 1% 이상 올랐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는 이탈리아 콘퍼런스에서 “AI는 버블 상태지만 기술 자체는 진짜”라며 양면적 평가를 내놨다.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CEO는 “앞으로 12~24개월 내 조정이 와도 놀랍지 않다”고 경고했다.
한편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의 9월 서비스업 PMI는 50.0으로 경기 확장세가 멈췄고, 금리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금리 인하 확률을 85.1%로 반영했다. 변동성지수(VIX)는 16.65로 소폭 상승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