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초반 투매 후 오후 회복세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뉴욕증시 3대지수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7일(현지시간 기준) 뉴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다우지수는 전장 대비 0.16%(74.80포인트(p)) 상승한 4만6987.10을 기록했다. 반면 나스닥종합지수는 0.21%(49.46p) 하락한 2만3004.54에 마감했고, 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0.13%(8.48p) 오른 6728.80이었다.

초반 시장에서는 인공지능(AI) 거품론이 다시 불안 요소로 부각되며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특히 AI 및 반도체 업종에 대한 집중 매도가 나타났다. 오픈AI가 인프라 설비투자를 위해 정부 보증을 요청했다는 논란이 불거지며 “현금흐름에 문제가 없다면 정부 보증을 거론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의구심이 확산됐다. 

해당 소식이 반도체 업종 전반에 영향을 미쳤고, 엔비디아는 최대 -4.88%, 브로드컴은 -5.15%까지 낙폭을 확대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장 중 4.70%까지 떨어졌다.

소비심리 둔화도 시장 하방 압력을 키운 요인이다. 미시간 대학교가 발표한 11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50.3으로, 10월의 53.6에서 3.3p 떨어졌다. 이는 2022년 6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시장은 이를 경제활동 둔화에 대한 경고 신호로 받아들였다.

하지만 오후 들어 흐름이 반전됐다. 민주당이 임시 예산안에 대한 타협안을 공화당에 제시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투자자들이 매수세로 돌아섰다. 

임시 예산안 핵심 쟁점이던 오바마케어 보조금의 연장기간을 1년으로 제안하고, 장기 개혁안은 별도 위원회 설치로 처리하자는 민주당의 제안이 분위기를 바꿨다. 공화당은 해당 제안을 거절했지만, 연말 소비 대목을 앞둔 상황과 중간선거 이후의 정치적 변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시장은 안도했다.

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와 기술 업종이 약세를 보인 반면, 필수소비재·부동산·유틸리티·소재·에너지 업종은 1% 이상 상승했다. 대표적으로 코카콜라는 2% 이상 올랐고, C셰브런도 1% 이상 상승했다. 특히 대형 기술주 중에서는 아마존과 메타가 반등하며 시장을 지탱했다.

시장금리 기대에도 변화가 감지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12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이 33.4%로 전날 30.4%보다 상승했다. 변동성지수(VIX)는 전일 대비 0.42p(2.15%) 하락한 19.08을 기록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금융 #경제 #AI #인공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