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택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상임대표
김용택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상임대표

바야흐로 진보교육감시대다. 2010년 선거에서는 6명의 진보교육감이 당선됐지만 2014년에는 무려 13명, 이번 6·13선거에서는 전국에서 대구, 경북, 대전 등 세 곳을 제외한 14명의 진보 교육감이 당선됐다. 일선 교육 쇄신에 대한 유권자들의 지지가 얼마나 뜨거운지 증명된 셈이다. 진보교육감 하면 떠오르는 말은 혁신학교, 교육양극화 해소, 민주교육, 무상 의무교육, 청렴교직사회 등이다. 실제로 지난 5월 10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민주진보 교육감 예비후보들은 ‘입시경쟁 교육 해소, 학교 민주화와 교육자치 활성화, 교육복지와 학생 안전 강화, 평화교육과 성 평등 교육의 강화와 같은 학부모들이 희망하는 공동교육공약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 민선 교육감선거에서는 선거판 과열로 정책이나 공약 검증이나 평가를 뒤로 하고 상대방의 약점을 폭로하는 네거티브전략으로 혼탁했다. 그러다 보니 전직 교육감이 한 정책이 얼마나 실천되었으며 그 공약으로 인해 달라진 현실을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검증할 기회를 놓친 게 사실이다. 그러나 이번 선거에서 전직 진보교육감이 한 사람도 낙선하지 않은 걸 보면 진보교육감에 대한 신뢰와 지지가 여전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4년 동안 진보교육감은 어떤 정책을 펼쳤을까? 지난 2014년 선거를 앞두고 전국 13개 시·도의 민주·진보 교육감 후보들은 ‘살인적인 입시 고통 해소 및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고교 평준화를 확대하고 자사·특목고 폐지를 공공 공약으로 내세웠다. 또 학교 안전 종합시스템을 구축하고, 친환경 무상급식을 확대하며, 학교폭력 없는 평화학교 만들기 프로젝트 등을 추진하고 ‘교육 비리 척결’을 위해 비리 연루자를 한 번에 퇴출하는 ‘원 스트라이크 아웃’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했다. 이런 공약들이 얼마나 지켜졌을까?

선거도 정치공학이 작용하는 것일까? 진보 교육감은들은 표심을 외면하기 어려웠던 모양이다. 지난 4년 동안 진보교육감들은 권한 밖인 ‘살인적인 입시 고통 해소’나 ‘공교육 정상화’와 같은 공약은 제대로 지키지 못했다. 사실 ‘살인적인 입시고통을 해소’할 수 있는 일은 교육감의 권한 밖의 영역이다. 사교육을 줄이기 위해서는 한 줄 세우기 경쟁교육이 아니라 학교가 교육과정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국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사교육비며 밤 10시가 되어서야 학교를 마치는 보충수업을 아직도 그대로요, 공교육 정상화는 남의 나라 얘기다.

이번 2018년 6·13선거에 진보교육감들은 민주 교육을 위한 공약들은 함께 내놓았다. 지난 5월 10일 서울 광화문광장에는 김승환(전북), 노옥희(울산), 도성훈(인천), 성광진(대전), 송주명(경기), 이찬교(경북), 장석웅(전남) 등 7명의 민주진보 교육감 예비후보들은 ‘입시경쟁 교육 해소, 학교 민주화와 교육자치 활성화, 교육복지와 학생 안전 강화, 평화교육과 성 평등 교육 강화' 등의 공약을 발표한 바 있다. 참석은 못했지만 다른 15개 시·도 교육감 예비후보들도 공동공약에 동참했다. 이들 중 대전과 경기, 경북을 제외한 다른 후보들은 모두 당선됐다. 과연 이들이 약속한 공약은 임기 중에 실천될까?

6·13 지방선거에서 진보성향의 교육감이 압승을 거뒀다. 전국 17곳의 교육감 선거에서 14곳에서 진보교육감이 당선되고 보수성향은 2곳, 중도는 1곳이었다. (그래픽 :뉴시스)
6·13 지방선거에서 진보성향의 교육감이 압승을 거뒀다. 전국 17곳의 교육감 선거에서 14곳에서 진보교육감이 당선되고 보수성향은 2곳, 중도는 1곳이었다. (그래픽 :뉴시스)

입시생을 두고 있는 학부모나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것은 ‘입시경쟁 교육 해소’다. 지난 선거 때도 진보교육감들이 같은 공약을 내걸었지만 이행치 못했다. 서울시 조희연교육감이 ‘자사고와 외고를 폐지하겠다.’고 나섰다가 학부모들로부터 강한 반발에 부딪쳐 유야무야됐다. 주변에서는 그가 공약을 실천 안한 것이 아니라 못한 것이라고도 얘기한다. 어렵게 외고나 자사고에 입학, 소위 명문대에 진학하면서 자녀가 성공하고 출세할 수 있는 길을 조희연교육감이 막고 있다는 항의가 거센데 따른다.

자사고나 외고만 폐지하면 공교육이 정상화된다는 보장이 없다. 문제는 일류대학이요 학벌 사회다. 문재인정부가 입시제도를 바꾸지 않는 한 공교육 정상화란 꿈같은 얘기다. 문재인정부의 지지율이 80%를 상회하고 있지만 유독 교육정책에는 이렇다 할 개혁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어 안타깝다. 촛불시민들이 열망하는 교육개혁을 김상곤 교육부총리가 국가교육회의에 떠넘겨 시간만 끌고 있는 것이다. 이러 현실에서 당선된 진보교육감들이 입시문제와 공교육정상화에 대한 공약을 어떻게 풀어 나갈지 의문이다.

지난 임기동안에도 그랬지만 이번 교육감 당선자가 내건 ‘학교 민주화와 교육자치 활성화, 교육복지와 학생 안전 강화, 평화교육과 성평등 교육 강화’와 같은 공약은 보수교육감의 지역에 비해 괄목할 만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진보교육감이 공약이행을 제대로 못한 것은 일류학교 문제나 공교육정상화를 발목잡고 있는 정부의 책임이요, 학생인권조례를 통과시키지 않은 지방의회의 한계다. 진보교육감들의 교육살리기 공약은 문제인정부의 입시제도의 개선이 선행돼야 이행될 수 있는 사안이다. 문 정부가 어떤 정책을 내놓을 지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