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전 울산시 북구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본관 앞에서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 조합원들이 광주형 일자리 협약 체결을 규탄하는 항의집회를 하고 있다.
5일 오전 울산시 북구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본관 앞에서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 조합원들이 광주형 일자리 협약 체결을 규탄하는 항의집회를 하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김정은 기자] 광주형 일자리의 첫 모델인 현대자동차 광주 완성차공장 투자 협상 최종 타결을 앞두고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가 디시 만났다.
 
이날 오전 광주시청 3층 중회의실에서 열릴 예정이던 2018년 노사민정협의회 하반기 본회의가 협약 내용에 대한 노동계 반발로 10분 만에 연기된 뒤 오후 3시께 속개됐다.
 
오전 회의에는 전체 위원 28명 가운데 9명이 불참했으나 오후에 재소집된 회의에는 노동계 대표격인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본부 의장 등 노동계 인사들이 대부분 함께 했다.
 
노동계는 이날 현대차 투자협상 초기부터 대표적인 독소조항으로 꼽혔던 '임금 및 단체협약 5년 유예' 조항이 협상 과정에서 제외됐다가, 뒤늦게 다시 포함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노사민정 회의 불참과 함께 협약서 추인 거부를 결정을 내렸다.
 
앞서 시 협상단은 현대차와의 잠정 합의안을 토대로 전날 밤 노동계 동의를 구했으나, 지난 10월 31일 시와 노동계가 합의한 수정협상안에서 제외됐던 임단협 5년 유예 조항이 우회적으로 다시 포함되면서 강하게 반발하고 나선 상태다. 
 
협약안에는 광주 완성차 공장이 35만대를 생산할 때까지 임단협을 유예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는데, 노동계는 현대차가 연간 7만대를 생산 또는 판매 보증하겠다고 밝혀왔던 만큼 5년 간임단협을 유예하자는 우회적 표현으로 해석하고 있다.
 
노동계 참여로 노사민정 간 대화의 장은 복구됐지만 독소조항에 대한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현대차 노조 등의 반발이 드세 추인 절차가 원활하게 마무리될 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협약의 필수과정인 노사민정 추인 절차가 무산된다면 현대차 투자협상은 투자자 간 본협상만 잠정 합의된 채 노사민정 결의가 포함된 부수협약이 갖춰지지 않게 돼 최종 타결 하루 전날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