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의 단전, 단수, 사회보험료 체납, 고용 위기 등
취약계층 위험정보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해 반영
제주시에서는 복지 사각지대 최소화를 위해 위기 징후 정보 빅데이터에 기반한 발굴시스템으로 조회된 2,400여 가구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굴・지원은 오는 5원 6일(금)까지 이뤄지며, 의료비 본인 부담 과다 가구와 건강보험료 체납자 중 타 위기 정보가 중복된 취약계층을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발굴 기초자료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의 단전, 단수, 사회보험료 체납, 고용 위기 등 취약계층 위험정보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해 반영됐다.
발굴조사는 읍면동 맞춤형복지팀에서 위험정보 및 상담 이력 등을 파악해 대상 가구에 안내문을 발송하고, 기초적인 전화상담을 진행한다.
이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우리동네삼춘돌보미(명예사회복지공무원), 복지 이・통장 등 지역사회 인적안전망을 활용한 가정방문 상담을 실시해 긴급복지 등 공적 급여 연계와 함께 사례관리를 포함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제주시 주민복지과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취약계층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지원하여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시는 지난해 6회에 걸쳐 총 9,899가구를 발굴해 일반상담, 기초수급(차상위), 긴급복지, 기타 공공・민간서비스 등을 지원했다.
[제주= 차정아 기자]
관련기사
차정아 기자
sadwhite@hanmail.net
